고소 2

무죄판결 선고 후 고소인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무죄판결 선고 후 고소인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은? 법률에 관련된 드라마나 영화를 보게 되면 주인공이 억울한 일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게 되는 일이 나옵니다. 물론 꾸며진 극상의 내용이기 때문에 대부분은 무죄판결을 받게 되는데요, 실제로 이런 일이 일어나 고소를 당하고 재판을 진행했으나 무죄판결 선고가 났다면 고소인에 대한 손해 배상 청구가 가능할까요? 지금부터 이러한 사례를 들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A씨는 B씨가 자신을 절도죄로 고소하여 기소가 되었는데요. 재판결과 범죄사실의 존재를 증명하는데 있어서 충분한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무죄판결을 받았습니다. A씨는 불이익을 통한 손해를 근거로 B씨에게 손해배상청구를 하고 싶어합니다. 이 경우 A씨에게 손해배상청구권이 있을까요? 위 사례에 대하여 A씨에게는 억..

허위로 남을 고발한 경우 무고죄 성립

허위로 남을 고발한 경우 무고죄 성립 무고죄(誣告罪)는 타인으로 하여금 형사처분 또는 징계처분을 받게 할 목적으로 공무소 또는 공무원에 대하여 허위의 사실을 신고한 경우에 성립하는데요. 무고죄는 본래 재판권의 적정한 행사를 방해할 우려가 있는 동시에 무고를 당한 사람 개인의 인격에 대한 침해도 되는 것이므로 국가와 개인의 이중의 법익을 침해하는 죄로서 비교적 엄하게 다스립니다. 신고내용이 “허위”라 함은 객관적 진실에 반하는 것을 말하며 신고 내용의 일부가 허위인 때에도 무고죄가 인정되고 있습니다. 신고의 수단, 방법, 형식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구두나 서면을 불문하고 반드시 고소나 고발의 형식을 취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리고 무고죄는 고의범이므로 허위의 사실임을 인식하고 또한 허위사실의 신고가 그 성질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