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부동산경매

【부동산경매<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과 함께 근저당권을 양수하였으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적극)>】《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적극)》〔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윤경 대표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2025. 7. 1. 16:16
728x90

부동산경매<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과 함께 근저당권을 양수하였으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적극)>】《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적극)》〔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과 함께 근저당권을 양수하였으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적극) :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적극)[이하 제2판 민사집행실무총서(I) 부동산경매(2) 박영호/김선영 P.1833-2018 참조, 이하 민사집행실무총서(I) 부동산경매(2) 윤경/손흥수, P.1700-1851 참조, 이하 법원실무제요(2020) 민사집행(III) 부동산집행2 P.29-139 참조]

 

1.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과 함께 근저당권을 양수하였으나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적극)

 

. 견해의 대립

 

채권양도의 합의는 있으나 대항요건을 갖추지 않은 경우 채무자에게 대항하지 못한다는 취지가 무엇인지 즉, 채무자에 대하여 실체법적으로 일단 채권양도의 효력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인지에 관하여 견해의 대립이 있다.

 

1(양도효력불발생설)

 

대항하지 못한다의 의미를 채무자에 대한 대항요건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채무자에 대한 관계에서 아직 채권양도의 효력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해석한다.

 

2(양도효력발생설)

 

일단 양도의 효력은 발생하며, 다만 통지나 승낙이 없는 동안은 양수인은 채무자에 대하여 채권양도의 효력을 주장할 수 없어 양수인은 채무자에 대하여 양수한 채권을 행사할 수 없고, 채무자는 양수인에게 변제할 의무를 지지 않는다고 한다.

 

. 판례의 태도 (= 적극)

 

판례(대법원 2000. 10. 25.20005110 결정, 대법원 2004. 7. 28.2004158 결정,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29279 판결)에 따르면,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않아도 일단 채권양도의 효력은 발생한 것이고(양도효력발생설), 따라서 채권과 담보권의 양수인은 유효한 담보권자로서 담보권을 행사할 수 있다.

피담보채권을 저당권과 함께 양수한 자는 저당권이전의 부기등기를 마치고 저당권실행의 요건을 갖추고 있는 한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고 있지 않더라도 경매신청을 할 수 있으며, 채무자는 경매절차의 이해관계인으로서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는 사유를 들어 경매개시결정에 대한 이의나 즉시항고절차에서 다툴 수 있고, 이 경우 신청채권자가 대항요건을 갖추었다는 사실을 증명하여야 할 것이나, 이러한 절차를 통하여 채권 및 근저당권의 양수인의 신청에 의하여 개시된 경매절차가 실효되지 않은 이상 그 경매절차는 적법한 것이고, 또한 그 경매신청인은 양수채권의 변제를 받을 수도 있다.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절차는 국가가 채무자나 소유자의 권능을 제한하여 획일적으로 변제를 위한 절차를 실행하는 것으로서, 국가는 채무자가 소유자의 대리인이 아닌 제3자로서 대항요건불비여부를 따질 수 있는 자가 아니고, 담보권부 채권은 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담보권자가 공시됨으로써 채권의 귀속이 간접적으로 공시되므로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절차에서는 절차적 안정성을 위하여 특수한 취급을 하고 있는 것이며, 담보물건의 소유자는 대항요건불비를 주장할 수 있는 제3자가 아니어서 그에 대하여는 채권양도만으로도 피담보채권의 양도효력이 있는 것으로 취급되어야 하는 것이며, 설령 소유자와 채무자가 동일인이라고 하더라도 이는 지위의 우연한 일치일 뿐 담보권의 본질상 당연히 그를 채무자로서 경매절차의 당사자로 취급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 지 여부 (= 적극)

 

⑴ ㈎ 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29279 판결은, 대항요건을 갖추지 못한 양수인이 배당을 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변제절차를 진행하는 국가는 채무자나 소유자의 대리인이 아닌 공권력을 행사하는 제3자이고, 한편, 국가는 대항요건불비를 다툴 수 있는 제3자는 아니므로, 국가가 배당할 때 경매신청채권자이든 배당요구채권자인 대항요건구비 여부를 따질 필요도 없으므로, 해당 담보권실행을 위한 경매절차에서는 채무자가 이를 다투지 않아 경매절차가 취소되거나 실효되지 않은 이상 경매신청채권자에게 배당을 하는 것이 타당하다.

 

집행법원은 형식적 심사권밖에 없으므로 대항요건 구비 여부를 실질적으로 심사하는 데 한계가 있고, 양수인보다 후순위 근저당권자는 대항할 수 없는 제3자에 포함되지 않으므로(대법원 2005. 6. 23. 선고 200429279 판결), 대항요건의 구비 여부를 다투는 건 사실상 채무자라 할 수 있는데, 양수인은 채무자에게 대항하지 못하는 것일 뿐이므로 채무자가 이를 배당이의로 다투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

 

⑵ ㈎ 근저당권부 채권이 양도되었으나 근저당권의 이전등기가 마쳐지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된 배당절차에서 근저당권의 명의인은 배당이의를 할 수 없다[대법원 2003. 10. 10. 선고 200177888 판결(피담보채권과 근저당권을 함께 양도하는 경우에 채권양도는 당사자 사이의 의사표시만으로 양도의 효력이 발생하지만 근저당권이전은 이전등기를 하여야 하므로 채권양도와 근저당권이전등기 사이에 어느 정도 시차가 불가피한 이상 피담보채권이 먼저 양도되어 일시적으로 피담보채권과 근저당권의 귀속이 달라진다고 하여 근저당권이 무효로 된다고 볼 수는 없으나, 위 근저당권은 그 피담보채권의 양수인에게 이전되어야 할 것에 불과하고, 근저당권의 명의인은 피담보채권을 양도하여 결국 피담보채권을 상실한 셈이므로 집행채무자로부터 변제를 받기 위하여 배당표에 자신에게 배당하는 것으로 배당표의 경정을 구할 수 있는 지위에 있다고 볼 수 없다)].

피담보채권을 양도한 저당권자는 채권의 양도로 인하여 더 이상 채권자가 아니므로 배당이의를 할 수 없는 것이다.

 

문제는 이 경우 피담보채권의 양수인은 배당이의를 할 수 있는지 여부이다.

저당권이전등기를 하지 않은 피담보채권의 양수인은 일반채권자에 불과하므로, 일반채권자로서 배당을 받을 수 있기 위하여 요구되는 요건(집행력 있는 정본을 소지하거나 가압류를 한 후 배당요구종기 내에 배당요구를 하였을 것)을 모두 갖춘 경우에 한하여 배당이의가 가능하다. 저당권이전등기를 하지 않은 피담보채권의 양수인은 저당권이전등기를 하지 않은 동안에는 저당권자라고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실무상 매각 전후로 근저당권부채권을 양도하면서 부기등기는 마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피담보채권을 양도하여 채권이 없는 양도인이 양수인을 대신하여 배당요구를 할 수도 없다(대법원 2003. 10. 10. 선고 200177888 판결).

 

저당권부채권의 양도를 받았으나 아직 저당권이전의 부기등기를 마치지 못한 자는 비록 채권양도의 대항요건 민법(450)을 구비하였다 하더라도 저당권을 취득한 것이 아닌 반면, 저당권부채권이 법률의 규정에 의하여 이전하는 경우에는 저당권도 이에 따라 등기 없이도 이전되므로 이 경우에는 저당권을 취득한 자는 등기기록상에 저당권자로 등기되지 않았더라도 저당권자와 마찬가지로 취급된다.

예를 들어, 저당권부채권이 상속, 포괄유증, 회사의 합병 등에 의하여 포괄승계된 경우, 저당권부채권이 전부명령에 의하여 전부된 경우, 공동저당에 있어서 차순위자의 대위로 인한 이전(민법 368)의 경우에는 포괄승계인 또는 전부채권자 등은 저당권이전의 부기등기 없이도 저당권자로서의 배당을 받을 수 있고, 배당이의도 할 수 있다.

 

 

 

 

 

 

 

 

 

 

 

'법률정보 > 부동산경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각대금의 지급*】《대금지급기한(대금지급기한의 지정이 없는 상태에서 대금을 지급한 경우의 효력, 집행정지서면의 제출과 대금지급기한의 지정), 대금지급의 액수와 방법(차액지급, 채무인수), 매수인의 대금지급의무불이행과 법원의 조치(차순위매수신고인에 대한 매각허가여부의 결정, 재매각, 재매각절차의 취소), 매각대금 지급의 효과(=소유권취득 및 부동산 인도청구), 매각절차의 하자와 소유권취득 여부》〔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2025.07.04
【부동산경매<근저당권자에게 채권최고액 초과부분도 배당할 수 있는지 여부>】《근저당권설정자가 물상보증인이거나 또는 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제3취득자가 생긴 경우, 근저당권설정자와 채무자가 동일한 경우, 잉여금에 대한 압류 등이 있는 경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2025.07.03
【부동산경매<부동산 인도명령의 당사자>】《신청인(매수인으로부터의 양수인, 공동매수인의 경우), 상대방(채무자, 소유자, 부동산점유자)》〔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3) 2025.06.30
【근저당권】《피담보채권의 확정, 채권최고액의 의미,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의 범위, 채무자의 변경, 채권자의 변경(근저당권의 이전), 포괄근저당》〔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2025.06.30
【부동산인도명령의 신청과 재판 】《인도명령의 신청(방법과 시기, 관할법원), 인도명령의 재판(서면심리 또는 임의적 심문, 필요적 심문을 하여야 하는 경우, 심문서의 송달, 입증의 방법 및 정도, 재판의 형식과 내용, 주문 및 집행)》〔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2025.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