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부동산경매

【부동산경매】《매각대금납부 후 이전등기 촉탁 전에 경료된 제3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가압류등기 등의 말소 여부 (= 적극)》〔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윤경 대표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2025. 5. 24. 12:57
728x90

부동산경매】《매각대금납부 후 이전등기 촉탁 전에 경료된 제3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가압류등기 등의 말소 여부 (= 적극)》〔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매각대금납부 후 이전등기 촉탁 전에 경료된 제3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가압류등기 등의 말소 여부 (= 적극) [이하 제2판 민사집행실무총서(I) 부동산경매(2) 박영호/김선영 P.1569-1633 참조이하 민사집행실무총서(I) 부동산경매(2) 윤경/손흥수, P.1460-1529 참조이하 법원실무제요(2020) 민사집행(II) 부동산집행1 P.428-475 참조]

 

1. 매각대금납부 후 이전등기 촉탁 전에 경료된 제3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가압류등기 등의 말소 여부 (= 적극) 

 

⑴ ㈎ 매각대금 납부 이후에 경료된 제3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 전소유자를 상대로 한 가압류등기, 체납처분에 의한 압류등기는 말소촉탁의 대상이 되는지 여부에 대하여는 견해의 대립이 있다.

 

 매수인이 매각대금을 완납하면 매수인에게 소유권이전의 효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그 이후 종전 소유자의 소유권이전등기에 기하여 경료된 가압류등기 등은 처음부터 효력이 없다고 할 것이므로 집행법원이 그 말소에 관여할 수는 없고, 등기공무원이 부동산등기법에 따라 직권말소하거나 매수인이 등기권리자를 상대로 방해배제에 기한 말소등기청구 소송이나 제3자이의의 소 등을 제기하여 개별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는 견해가 있다.

 

 그러나 말소될 운명에 있는 무효의 등기라면 집행법원이 직권으로 그 말소를 촉탁하는 것이 절차의 신속과 간명화를 위하여 타당하고, 이것이 현재 법원의 실무례이다.

 

⑵ ㈎ 판례도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대법원 2002. 8. 23. 선고 200029295 판결은, “부동산의 권리를 취득한 제3자가 그 취득할 때에 경매신청 또는 압류 있음을 알았을 경우에는 압류에 대항하지 못하는 것이므로(민사집행법 제92조 제1) 경매신청의 기입등기가 이루어진 후에 경료된 제3취득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는 매수인에게 대항하지 못하는 것으로서 매수인이 인수하지 아니한 부동산 위의 부담의 기입에 해당하여 매각대금의 완납이 있는 경우에는 법원이 직권으로 그 말소를 촉탁하여야 하는 것이고(민사집행법 제144조 제1), 그 제3취득자를 채무자로 하여 이루어진 압류 또는 가압류의 등기는 매각대금의 완납에 의하여 실효되는 것이고, 이러한 법리는 그 제3취득자가 매수인이 되었다거나 그 제3취득자를 채무자로 한 압류 또는 가압류의 등기가 매각대금의 완납이 있은 후에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달라지지 아니한다.”고 판시하고 있다.

 

 종래 부동산 경매신청의 기입등기가 이루어진 후에 당해 경매목적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제3취득자가 경매절차에서 매각허가를 받아 대금을 납부하면  3취득자 명의의 기존 소유권이전등기를 말소하고 다시 그 앞으로 매각허가를 원인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할 것이냐, 아니면  그와 같이 번거로운 절차를 밟을 것 없이 제3취득자 명의의 소유권 이전등기는 그대로 두고 그 밖의 다른 등기들(매수인이 인수하지 아니한 것)만 말소할 것이냐 하는 문제가 논의되었는데, 이 판결은 전자의 입장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처럼 제3취득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가 말소의 대상이 된다고 보는 이상 그 당연한 귀결로, 3취득자(전 소유자)가 매수인이 되어 매각대금을 완납한 상태에서 그의 채권자인 이 가압류를 한 경우 제3취득자(전 소유자)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와  명의의 가압류등기는 모두 경매법원의 촉탁에 의하여 말소된다. 결국 판례도 적극설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법률정보 > 부동산경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인도명령<임차인의 배당금수령과 명도확인서>】《소액임차인 및 전세권자의 경우(= 명도확인서 필요), 대항력 있는 임차권자가 일부만 배당받은 경우(= 명도확인서 불요), 미등기건물임차인이 대지의 환가대금에서 배당을 받은 경우 명도확인서 제출 여부 (= 명도확인서 불요), 임차권자의 동시이행의 판결에 기한 경매신청(= 명도확인서 불요), 매수인이 명도확인서의 작성을 거절할 경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0) 2025.05.26
【부동산경매<대금지급의 액수와 방법>】《납부할 금액, 대금지급방법(차액지급, 채무인수), 배당액과의 차액지급(= 배당액의 공제), 채무인수》〔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2025.05.25
【부동산경매<부동산 인도명령의 상대방인 부동산점유자>】《점유여부의 판단기준 시, 간접점유자의 경우, 경매개시결정에 기한 압류의 효력이 발생하기 전에 점유를 시작한 점유자의 경우, 매각대금 납부 이후 점유개시한 사람도 상대방인지 여부(= 적극), 점유보조자의 경우,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권원이 있는 경우, 경매목적물을 인도받은 후의 점유자》〔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2025.05.23
【부동산경매<매각대금납부 후 용익물권의 등기 및 임차권등기의 말소>】《원칙적 말소촉탁(= 단 예외 있음), 대항력 있는 임차권등기(= 보증금 전액을 받기 전까지 말소촉탁 불가), 배당요구를 하지 않은 '대항력 있는 임차권등기명령권자'의 임차권등기가 말소촉탁대상인지 여부, 임차권등기명령에 의하여 등기된 임차권의 우선순위 판단시점, 대항력 있는 임차권등기명령권자가 일부 변제받은 경우 변경등기촉탁, 전액 변제받지 못한 최선순위 전세권등기》〔윤경 변호사 더리드  (1) 2025.05.22
【부동산경매<대금지급기한>】《대금지급기한의 지정, 대금지급기한의 지정이 없는 상태에서 대금을 지급한 경우의 효력, 집행정지서면의 제출과 대금지급기한의 지정, 대금지급기한의 통지 및 변경》〔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2025.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