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은 어디서 오는가】《창의성은 무에서 나오는 게 아니다. 채운 만큼 터져나온다. 책과 경험이 그 뿌리다.》〔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지금 우리는 끊임없이 창의성을 요구받는 시대를 살아간다.
창의적인 사람은 도전과 모험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반복되고 단조로운 일상 속에서도
삶에 새로운 색을 입히는 능력 —
그게 바로 창의성이다.
많은 이들이 창의적인 삶을 꿈꾸고,
아이들에게도 창의력을 길러주려 한다.
그런데 진짜 창의성은 어디서 오는 걸까?
창의성이란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신의 영역이 아니다.
인간은 생전 듣도 보도 못한 무언가를 창조할 수 없다.
우리가 떠올리는 ‘새로움’은
사실 이미 알고 있던 것의 조합이고,
보았던 것의 변형이며,
경험했던 것의 재해석이다.
즉, 창의성은 기억 속 지식과 경험 위에 피어나는 꽃이다.
그래서 우리는 ‘자극’을 받아야 한다.
책을 읽고, 여행을 떠나고, 새로운 사람과 이야기하고,
예술 앞에 서 있어야 한다.
광범위한 독서 —
이것이야말로 창의성에 가장 가까운 입구다.
책 속에서 우리는 남의 시선으로 세상을 본다.
새로운 문장을 만나고,
낯선 감정에 빠지며,
익숙한 것을 낯설게 바라보는 힘을 키운다.
성공한 사람들 대부분이 독서가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
그들은 삶의 공백조차 독서로 채우며,
머릿속에 끊임없이 ‘다른 길’을 준비해 놓는다.
예술도 마찬가지다.
시를 읽다 보면, 시인들의 문장에 감탄하게 된다.
그 감탄은 단순한 감정의 기록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그들은 사물을 새롭게 바라보고,
말에 날개를 달아 우리에게 건넨다.
미술 작품, 무용, 음악…
그 모든 것이 우리 안의 감각을 흔들어 놓는다.
그 진동이,
생각하지 못했던 연결을 만들어낸다.
그래서 예술이 필요하다.
매일 같은 옷을 입고, 같은 시간에 같은 식사를 하고,
똑같은 기사만 이야기하며,
저녁이면 ‘왕년엔 말이야’만 반복하는 삶.
그 속에서는 절대 창의성이 자라지 않는다.
창의는 기다림이 아니라 채움이다.
마음을 비우는 명상도 필요하지만,
무언가를 끊임없이 채우는 삶이 있을 때,
그 안에서 진짜 ‘다른 생각’이 솟아오른다.
창의성은 다름이 아니라,
익숙한 것을 다르게 보는 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