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민사소송

【판례】《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46조 제1항 본문에 따라 터미널사용자가 터미널사업자에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하는 승차권의 범위(=터미널승차권에 한정)(대법원 2023. 1. 12. 선고 2019다238947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윤경 대표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2024. 11. 1. 10:20
728x90

판례】《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46조 제1항 본문에 따라 터미널사용자가 터미널사업자에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하는 승차권의 범위(=터미널승차권에 한정)(대법원 2023. 1. 12. 선고 2019238947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판결의 요지 :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상의 터미널사업자가, 시외버스 정류소에서 정류소승차권판매를 터미널사업자에게 위탁하지 않고 스스로 판매한 운송사업자를 상대로 하여, 운송사업자의 직접 판매분 승차권에 관한 위탁수수료 상당의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한 사안]

 

판시사항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46조 제1항 본문에 따라 터미널사용자가 터미널사업자에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하는 승차권에 정류소에서의 승차를 위한 승차권이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이하 여객자동차법이라 한다) 46조 제1항 본문은 터미널사용자는 터미널사업자에게 승차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같은 항 단서는 다만 여객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직접 판매하거나 터미널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승차권 판매를 위탁할 수 있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원칙적으로 터미널을 사용하는 여객자동차 운송사업자(이하 운송사업자라고만 한다)로 하여금 승차권을 반드시 터미널사업자를 통하여 승객에게 판매하도록 하고 있다. 위 조항 본문에 따라 터미널사용자가 터미널사업자에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하는 승차권은 터미널에서의 승차를 위한 승차권(이하 터미널승차권이라 한다)에 한정될 뿐 정류소에서의 승차를 위한 승차권(이하 정류소승차권이라 한다)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은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의 주체를 터미널을 사용하는 운송사업자로 한정할 뿐 모든 운송사업자에게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를 부과하고 있지 않다. 더욱이 여객자동차 운송사업 면허 내용에 따라 터미널을 기점으로 삼지 않는 시외버스 노선도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위 조항 본문에 따른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는 운송사업자가 터미널을 이용하는 경우에 터미널사업자에게 그 터미널의 이용과 관련 있는 터미널승차권의 판매를 위탁해야 한다는 뜻으로 봄이 자연스럽고, 위 조항 본문에서 판매를 위탁해야 하는 승차권의 종류를 구별하지 않고 있다고 하여 달리 보기 어렵다.

 

여객자동차법 제5조 제1항 제2,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14조 제1[별표 2]에 따르면, 정류소 부대시설인 매표시설은 원칙적으로 운송사업자가 설치할 것을 예정하였다. 운송사업자가 설치한 정류소 매표시설의 운영에 관하여는 여객자동차법상 다른 규율을 찾아볼 수 없는 이상, 정류소 매표시설의 운영권은 매표시설을 설치한 운송사업자가 가지는 것이므로, 여객자동차법은 정류소승차권의 판매에 관하여 원칙적으로 운송사업자의 자율에 맡기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이 터미널사업자에 대한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를 부여한 입법 목적은 승차권 판매 창구를 터미널사업자로 단일화함으로써 승객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것에 있다. 이러한 입법 목적은 정류소승차권 판매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나,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에 따른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의 대상이 터미널승차권에 한정된다고 해석하더라도, 위 조항 본문에 따라 당연히 운송사업자가 터미널사업자에게 정류소승차권 판매를 위탁해야 할 의무가 도출되지 않는다는 것일 뿐 관할관청은 위 입법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재량 행사를 통해 정류소승차권의 판매권을 터미널사업자에게 부여할 수 있으므로, 위 입법 목적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도 얼마든지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승차권 판매 창구 단일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에 따른 승차권 판매 위탁 의무 대상에 정류소승차권이 당연히 포함된다는 것은 문언의 해석 또는 합목적적 해석의 관점에서 어느 모로 보나 받아들이기 어렵다.

 

2. 사안의 개요 및 쟁점 [이하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홍승면 P.2973-2974 참조]

 

. 사실관계

 

피고(터미널사용자)는 시외버스 정류소 설치 후, 위 정류소에서 직접 정류소 승차권을 판매하였다.

 

원고(터미널사업자)는 피고에 대하여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이하 여객자동차법’) 46조 제1항 위반에 따른 손해배상(민법 제390조 또는 제750) 또는 부당이득 반환을 구하는 이 사건 소를 제기하였다.

 

원심은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의 승차권에는 터미널 승차권만 포함되고, ‘정류소 승차권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기각하였다(상고 기각).

 

. 쟁점

 

위 판결의 쟁점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46조 제1항 본문에 따라 터미널사용자가 터미널사업자에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하는 승차권의 범위(=터미널승차권에 한정)이다.

 

⑵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이하 여객자동차법이라 한다) 46조 제1항 본문은 터미널사용자는 터미널사업자에게 승차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같은 항 단서는 다만, 여객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직접 판매하거나 터미널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승차권 판매를 위탁할 수 있다.”라고 규정함으로써, 원칙적으로 터미널을 사용하는 여객자동차 운송사업자(이하 운송사업자라고만 한다)로 하여금 승차권을 반드시 터미널사업자를 통하여 승객에게 판매하도록 하고 있다. 위 조항 본문에 따라 터미널사용자가 터미널사업자에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하는 승차권은 터미널에서의 승차를 위한 승차권(이하 터미널승차권이라 한다)에 한정될 뿐 정류소에서의 승차를 위한 승차권(이하 정류소승차권이라 한다)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봄이 타당하다.

 

여객자동차법의 운송사업자가 시외버스 정류소에서 정류소승차권판매를 터미널사업자에게 위탁하지 않고 스스로 판매한 데에 대하여, 터미널사업자가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에 따라 정류소승차권의 판매권한이 터미널사업자에게 있다고 주장하면서 운송사업자들을 상대로 운송사업자가 판매한 정류소승차권 판매 위탁수수료 상당의 부당이득 반환 등을 청구한 사안임

 

대법원은, 위와 같은 법리를 판시하고, 같은 취지에서 원고의 부당이득반환청구를 기각한 원심판단을 수긍하였다.

 

3.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의 승차권의 의미(= 터미널 승차권) [이하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홍승면 P.2973-2974 참조]

 

.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46(승차권 판매 위탁)

터미널사용자는 터미널사업자에게 승차권 판매를 위탁하여야 한다. 다만, 여객의 편의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국토교통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운송사업자가 직접 판매하거나 터미널사업자가 아닌 자에게 승차권 판매를 위탁할 수 있다.

 

. 대상판결(대법원 2023. 1. 12. 선고 2019238947 판결)은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의 승차권에는 터미널 승차권만 포함된다고 해석함

 

터미널과 달리 정류소에서까지 승차권 판매 위탁이 필요한 것은 아니기 때문임

 

여객자동차법 제46조 제1항 본문은 터미널 이용객들의 편의 증진을 위한 취지인데, 터미널사업자에게 정류소승차권까지 판매하도록 하는 것이 이용객들에게 더 편리하다고 볼 근거는 없다.

 

이 사건에서 원고는 정류소에 매표시설을 설치하지도 않았다.

 

운송사업자가 운송사업 면허를 받기 위해서는 정류소및 정류소 내 매표시설을 설치하여야 함(여객자동차법 제5조 제1항 제2호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제1항 별표 2)

 

여객자동차법령이 매표시설을 운송사업자(터미널사용자, 피고)가 설치할 것을 예정하고 있는 이상, 위 매표시설의 운영권 역시 운송사업자에게 있다고 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