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부동산경매

【판례<가등기담보법, 담보가등기의 실행방법, 변제자대위와 구상권, 변제자임의대위, 소멸시효의 원용>】《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를 대위변제한 원고가 배당요구 없이 경매절차에서..

윤경 대표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2023. 9. 5. 01:32
728x90

판례<가등기담보법, 담보가등기의 실행방법, 변제자대위와 구상권, 변제자임의대위, 소멸시효의 원용>】《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를 대위변제한 원고가 배당요구 없이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수 있는 채권자인지 여부(적극) 및 배당받을 수 있는 채권의 범위, 후순위담보권자가 선순위담보권자의 피담보채권 소멸시효원용 주장 가부(소극)(대법원 2021. 2. 25. 선고 2016232597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1. 판결의 요지 : [선순위 담보가등기권리자가 후순위 근저당권자를 상대로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한 사건]

 

판시사항

 

[1] 3자가 채무자를 위하여 변제함으로써 채무자에 대하여 구상권을 취득하는 경우, 그 구상권의 범위 내에서 종래 채권자가 가지고 있던 채권과 그 담보에 관한 권리가 변제자에게 이전하는지 여부(적극) 및 이때 대위할 범위에 관하여 종래 채권자가 배당요구 없이 배당받을 수 있었던 경우, 대위변제자도 배당요구 없이 배당을 받을 수 있는지 여부(적극)

 

[2] 갑 주식회사가 대여금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채권자 을 앞으로 마쳐준 갑 회사 소유의 임야에 관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에 기해 을이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본등기를 마쳤고, 그 후 병 주식회사가 갑 회사와 체결한 대위변제약정에 따라 을의 승낙을 얻어 위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를 대위변제하였는데, 갑 회사와 을 및 정 주식회사가 체결한 약정에 따라 정 회사 앞으로 위 임야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후 설정된 무 주식회사 명의의 근저당권에 기해 임의경매절차가 개시되자, 병 회사가 경매법원에 담보가등기권리자 권리신고서를 제출한 사안에서, 병 회사는 부동산 매각으로 소멸하는 담보가등기를 가진 채권자로서 경매절차의 배당요구 종기 전에 배당요구를 하였는지와 관계없이 위 임야의 매각대금에서 배당받을 수 있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고 한 사례

 

[3] 채무자를 위하여 변제한 자가 취득할 수 있는 채무자에 대한 구상권과 민법 제480조 제1항에 따른 변제자대위권이 별개의 권리인지 여부(적극) 및 변제자대위로 원채권과 담보권을 행사하는 경우, 그 행사의 범위가 구상권의 범위로 한정되는지 여부(적극)

 

[4] 소멸시효의 완성을 주장할 수 있는 사람의 범위(=시효로 인한 채무 소멸로 직접적인 이익을 받는 사람) 및 후순위 담보권자가 선순위 담보권의 피담보채권 소멸로 직접 이익을 받는 사람에 해당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1] 채무자를 위하여 변제한 자는 변제와 동시에 채권자의 승낙을 얻어 채권자를 대위할 수 있다(민법 제480조 제1). 3자가 채무자를 위하여 채무를 변제함으로써 채무자에 대하여 구상권을 취득하는 경우, 그 구상권의 범위 내에서 종래 채권자가 가지고 있던 채권과 그 담보에 관한 권리는 동일성을 유지한 채 법률상 당연히 변제자에게 이전한다. 이때 대위할 범위에 관하여 종래 채권자가 배당요구 없이도 당연히 배당받을 수 있었던 경우에는 대위변제자는 따로 배당요구를 하지 않아도 배당을 받을 수 있다.

 

[2] 갑 주식회사가 대여금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채권자 을 앞으로 마쳐준 갑 회사 소유의 임야에 관한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이하 담보가등기라 한다)에 기해 을이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본등기를 마쳤고, 그 후 병 주식회사가 갑 회사와 체결한 대위변제약정에 따라 을의 승낙을 얻어 위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를 대위변제하였는데, 갑 회사와 을 및 정 주식회사가 체결한 약정에 따라 정 회사 앞으로 위 임야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가 마쳐진 후 설정된 무 주식회사 명의의 근저당권에 기해 임의경매절차가 개시되자, 병 회사가 경매법원에 담보가등기권리자 권리신고서를 제출한 사안에서, 병 회사가 대위변제를 할 당시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는 원인무효의 등기였고 담보가등기는 유효한 등기로 남아 있었으므로, 갑 회사에 대하여 구상권을 취득한 병 회사는 담보가등기와 그 피담보채권인 을의 갑 회사에 대한 대여금채권을 법률상 당연히 이전받았는데, 담보가등기가 위 경매절차의 경매개시결정 전에 등기가 되어 있었고,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제16조 제1항에 따라 경매법원이 채권신고를 최고하기 전에 병 회사가 담보가등기권리자라고 주장하며 그 채권을 신고하였으므로, 병 회사는 부동산 매각으로 소멸하는 담보가등기를 가진 채권자로서 경매절차의 배당요구 종기 전에 배당요구를 하였는지와 관계없이 위 임야의 매각대금에서 배당받을 수 있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고 한 사례.

 

[3] 채무자를 위하여 채무를 변제한 자는 채무자에 대한 구상권을 취득할 수 있는데, 구상권은 변제자가 민법 제480조 제1항에 따라 가지는 변제자대위권과 원본, 변제기, 이자, 지연손해금 유무 등에서 그 내용이 다른 별개의 권리이다.

 

민법 제482조 제1항은 변제자대위의 경우 변제자는 자기의 권리에 의하여 구상할 수 있는 범위에서 채권과 그 담보에 관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변제자대위는 채무를 변제함으로써 채무자에 대하여 갖게 된 구상권의 효력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이므로 대위에 의한 원채권과 담보권의 행사 범위는 구상권의 범위로 한정된다.

 

[4] 소멸시효가 완성된 경우 이를 주장할 수 있는 사람은 시효로 채무가 소멸되는 결과 직접적인 이익을 받는 사람에 한정된다. 후순위 담보권자는 선순위 담보권의 피담보채권이 소멸하면 담보권의 순위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 피담보채권에 대한 배당액이 증가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배당액 증가에 대한 기대는 담보권의 순위 상승에 따른 반사적 이익에 지나지 않는다. 후순위 담보권자는 선순위 담보권의 피담보채권 소멸로 직접 이익을 받는 자에 해당하지 않아 선순위 담보권의 피담보채권에 관한 소멸시효가 완성되었다고 주장할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2. 사안의 개요 및 쟁점

 

. 사실관계

 

주식회사는 로부터 25,000만 원을 차용하면서 2005. 8. 19. 그 담보로 이 사건 임야에 관하여 앞으로 이 사건 담보가등기를 하였는데, 2006. 3. 10. 가등기담보법에서 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이 사건 임야에 관하여 이 사건 담보가등기에 기한 이 사건 본등기를 하였다.

 

주식회사는 2006. 5. 1.경 원고에게 원고가 에게 4억 원을 대위변제하면, 원인무효인 이 사건 본등기를 말소하고 이 사건 담보가등기를 원고 명의로 이전하며, 1년 기한 6억 원 (이자 연 50%)의 약속어음을 발행하여 교부하겠다.’는 내용의 이행각서를 교부하면서 이 사건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 대위변제를 요청하였고, 원고는 2006. 5. 9. 의 승낙을 얻어 에게 4억 원을 지급함으로써 이 사건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를 대위변제하였다.

 

주식회사와 2006. 5. 9. 회사 앞으로 이 사건 임야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기로 약정하였고, 이 사건 임야에 관하여 2006. 5. 10. 로부터 회사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였다.

 

회사는 2008. 7. 25. 이 사건 임야에 관하여 채권최고액 15억 원, 근저당권자 피고인으로 하는 이 사건 근저당권등기를 하였다.

 

피고가 임의경매를 신청함에 따라 이 사건 경매절차가 개시되었는데, 원고는 2013. 10. 14. 경매법원에 담보가등기권리자 권리신고서를 제출하였다.

 

경매법원은 2014. 12. 17. 매각허가결정을 하고 배당기일에 피고에게 2순위로 1,199,866,145 원을 배당하는 내용의 배당표를 작성하였고, 원고는 위 배당기일에 출석하여 피고의 배당액 전부에 대하여 이의하였다.

 

원고는 수원지방법원 2010가합12411호로 피고를 상대로 이 사건 본등기가 원인무효등기라서 회사 명의의 소유권이전등기와 이 사건 근저당권이 무효라고 주장하면서 이 사건 근저당권 등의 말소를 청구하는 소를 제기하였는데, 1심에서 승소하였으나 항소심에서 패소한 후 대법원에서 항소심판결이 그대로 확정되었다.

 

항소심판결의 취지는 이 사건 본 등기는 원인무효 등기이지만 주식회사와 회사와 이 사건 임야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하기로 합의하였고 그 합의에 따라 이 사건 본등기 말소등기절차를 생략한 채 직접 로부터 회사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를 한 것이므로, 이는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유효한 등기라는 것이었다.

 

원고는 이 사건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하였는데, 원심은 당시 이 사건 본등기는 원인무효의 등기였고 이 사건 담보가등기는 유효한 등기로 남아 있었으므로, 주식회사에 대한 구상권을 취득한 원고는 이 사건 담보가등기와 그 피담보채권인 주식회사에 대한 대여금채권을 법률상 당연히 이전받았고, 경매법원이 원고에게 채권신고를 최고하기 전에 원고 가담보가등기권리자라고 주장하며 그 채권을 신고하였으므로, 이 사건 경매절차의 배당요구 종기 전에 배당요구를 하였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이 사건 임야의 매각대금에서 배당을 받을 수 있고, 그 범위는 에게 대위변제한 4억 원 및 이에 대하여 원고가 구하는 바에 따라 그 중 원금 25,000만 원에 대하여 면책일(대위변제일)2006. 5. 9.부터 배당기일 인 2015. 2. 25.까지 민법이 정한 연 5%의 비율로 계산한 법정이자 또는 지연손해금 176,164,383원 합계 576,164,383이라고 판단하였다.

 

대법원은 원고는 이 사건 임야의 매각대금에서 배당받을 권리가 있으나, 원고가 변제자대위에 따라 행사하는 원채권과 담보권의 범위는 구상권의 범위 내로 한정되므로, 원고가 이 사건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수 있는 금액은 대위변제금에 배당기일까지 약정이자 또는 지연손해금을 가산하여 산정한 구상금과 의 채권 중 적은 금액이므로, 원심에서는 구상금채권과 원채권의 범위에 관한 원고 주장을 명확히 한 다음 각각의 채권 범위를 구체적으로 심리해야 한다고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하였다.

 

. 쟁점 : [담보가등기권리를 변제자대위로 행사할 경우 배당요구가 필요한지 여부, 변제자임의대위에 있어 구상금채권 범위 및 후순위 담보권자가 선순위 담보권의

피담보채권의 소멸시효 완성을 원용할 수 있는지 여부]

 

이 사건의 쟁점은,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를 대위변제한 원고가 배당요구 없이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수 있는 채권자인지 여부(적극) 배당받을 수 있는 채권의 범위, 후순위담보권자가 선순위담보권자의 피담보채권 소멸시효원용 주장 가부(소극)이다.

 

원고는 김△△에게 ○○종합건설을 위하여 이 사건 임야에 대한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무를 대위변제하였는데, △△ 명의로 이 사건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마쳐진 것을 기화로 김△△이 주식회사 □□건설 앞으로 이 사건 임야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치고 □□건설은 피고에게 이 사건 임야에 관하여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쳤다.

 

피고가 이 사건 근저당권에 기하여 임의경매를 신청하여 경매절차가 개시되고 배당기일에 피고에게 일정 금액을 배당하는 내용의 배당표가 작성되자 원고가 피고의 배당액 전부에 대하여 이의를 제기하는 사건이다.

 

대법원은 민사집행법 제148조 제4호에 따라 원고가 이 사건 경매절차에서 배당요구 없이도 배당받을 수 있는 채권자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 원고보다 후순위 담보권자인 피고는 원고의 채권에 대하여 소멸시효를 원용할 수 없다는 이유로 피고의 소멸시효 항변을 배척한 원심판단 부분이 정당하다고 보았다.

 

다만, 원고가 배당받을 수 있는 채권의 범위에 관하여 원고가 변제자대위권에 따라 행사하는 원채권과 담보권의 범위는 구상권의 범위 내로 한정되므로 원고가 이 사건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수 있는 금액은 구상금과 김△△의 채권 중 적은 금액이고 원심은 구상금채권과 원채권의 범위에 관한 원고 주장을 명확히 하여 각 채권의 범위를 구체적으로 심리해야 하는데도 채권의 범위에 관한 원고 주장을 구상금채권에 관한 것으로 단정하였으므로 구상금채권의 범위에 관한 법리 오해와 심리미진의 잘못이 있다고 보아 원심판결의 일부를 파기환송하였다.

 

3. 가등기담보법 법리 [이하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홍승면 P.728-734 참조]

 

. 관련 규정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1(목적) 이 법은 차용물의 반환에 관하여 차주가 차용물을 갈음하여 다른 재산권을 이전할 것을 예약할 때 그 재산의 예약 당시 가액이 차용액과 이에 붙인 이자를 합산한 액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이에 따른 담보계약과 그 담보의 목적으로 마친 가등기 또는 소유권이전등기의 효력을 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4(담보권 실행의 통지와 청산기간)

 채권자는 담보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이미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청산기간이 지난 후청산금을 채무자등에게 지급한 때에 담보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며, 담보가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청산기간이 지나야 그 가등기에 따른 본등기를 청구할 수 있다.

 

따라서 2가지 요건,   소비대차거래에 의한 것   재산가액이 채무액을 초과여야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된다.

 

.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이 경우 가등기담보법 제정(1983) 전 판례 이론(신탁적 이전설)이 그대로 유효하다.

 

 매매대금, 공사대금 : 예컨대 공사대금에는 아무리 비싼 부동산을 대신 주기로 하였어도 가등기담보법 적용이 안 된다.

 

 부동산의 가액이 채무원리금보다 적은 경우

 

. 가등기담보법 시행 전 판례 이론 (= 신탁적이전설)

 

 담보목적으로 이전등기를 하면서 돈을 갚지 않으면 채권자 소유로 하기로 한 경우, 민법 607, 608조에 의하여 그 약정은 무효가 될 수 있다.

 

 그런데 판례는 민법 제608조에 반하는 등기는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의 효력이 있다고 본다(대법원 2016. 10. 27. 선고 201563138, 63145 판결 등).

 

약한 의미란 정산을 하는 것(채권자에게 신탁적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나 단 채권자가 정 산의무를 짐)을 말한다.

 

강한 의미란 그냥 갖는 것이다.

 

⑶ ① 이 경우 정산에 관하여 법이 정하고 있는 것이 없으므로 귀속정산과 처분정산 모두 가능하다.

 

 귀속정산이란 채권자가 소유권을 취득하고 채무자에게 차액을 돌려주는 것이다.

 

 처분정산이란 채권자가 임의로 처분한 후 받은 대금 중 채권액을 빼고 남는 금액을 채무자에게 돌려주는 것이다.

 

처분정산은 채권자가 헐값에 처분해버릴 위험성이 있으므로 훨씬 더 위험한 정산 방법이다.

 

 가등기담보법에서는 정산방법 중 귀속정산만 유효한 것으로 보고 처분정산은 금지한다(가등기담보법 3, 4, 대법원 2002. 12. 10. 선고 200242001 판결).

 

.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되는 경우 (= 담보물권설)

 

 채권자가 자기 명의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어도 채권자의 권리는 담보물권이라는 것이 확립된 법리다.

등기는 채권자 명의로 되어 있지만, 대내적은 물론 대외적으로도 채무자 소유이다(가등기담보법 제4조 제2).

 

 다만 제3자 보호규정이 있다(가등기담보법 제11조 단서).

 

채권자가 부동산을 매각해버리면 선의의 제3자는 소유권을 취득한다(대법원 2010. 8. 26. 선고 201027458 판결 참조).

 

 채무자의 등기말소청구권의 행사기간 10년은 제척기간이다(대법원 2004. 4. 27. 선고 200329968 판결).

 

직권조사사항이다.

 

따라서 10년이 경과하면 원리금을 변제하고 등기말소하라는 청구를 더이상 하지 못한다.

 

 가등기담보법 제3, 4조의 청산절차를 거쳐야 소유권이전등기가 유효하다.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고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경우, 당사자간 합의에 의해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쳤더라도 무효이다(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8300661 판결 등 참조).

 

. 가등기권자의 경매청구권 및 채권신고

 

 집행권원(판결 등) 없이 경매 청구할 권리가 있다(가등기담보법 12).

 

담보가등기권자는 그 선택에 따라 제3조에 따른 담보권을 실행하거나 담보목적부동산의 경매를 청구할 수 있고, 이 경우 경매에 관하여는 담보가등기권을 저당권으로 본다.

 

 법원은 소유권의 이전에 관한 가등기가 되어 있는 부동산에 대한 강제경매 등의 개시결정이 있는 경우에는 가등기권리자에게 해당 등기가 담보가등기인지 여부, 피담보채권의 금액 및 이자 등을 법원에 신고하도록 적당한 기간을 정하여 최고하여야 하고, 가등기권리자는 이를 신고하여야 한다(가등기담보법 제16조 제1).

 

채권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 배당을 받지 못한다(가등기담보법 제16조 제2, 대법원 2008. 9. 11. 선고 200725278 판결).

 

채권신고를 한 경우 별도의 배당요구는 필요 없다.

담보물권의 성질 및 채권신고에 따라 권리가 나타나기 때문이다(민사집행법 제148조 제4호 참조).

 

4. 가등기담보법 제11조 단서 후문의 취지  [이하 대법원판례해설 제129, 이주윤 P.525-574 참조]

 

. 관련 규정

 

가등기담보법 제11(채무자 등의 말소청구권) 채무자 등은 청산금 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그 채무액(반환할 때까지의 이자와 손해금을 포함한다)을 채권자에게 지급하고, 그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그 채무의 변제기가 지난 때부터 10년이 지나거나 선의의 제3자가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법 문언은 양도담보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통설은 이 사건과 같이 담보가등기권자가 가등기담보법이 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고 무효의 본등기를 마친 경우에도 동조가 유추적용 된다고 본다.

 

. 11조 단서 후문의 환수권(= 말소등기청구권) 소멸 관련 법률효과

 

 11조 단서 후문의 환수권 소멸의 효과가 소급하는지 여부(= 환수권 소멸 시 무효의 본등기가 소급해서 유효해지는지 여부)(= 긍정)

 

장래효를 인정하는 견해보다는 원칙적으로 소급효를 인정하고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 그 소급효를 제한하는 견해가 타당하다. 가등기담보법이 특별히 11조 단서의 예외 조항을 마련한 취지는 거래안전이기 때문이다.

 

 11조 단서 후문의 환수권 소멸 시 채권자의 담보권 소멸 여부(= 긍정)

 

가등기담보권의 실행방법으로는  권리취득에 의한 사적 실행(귀속정산)  경매절차에 의한 공적 실행(처분정산)이 있다. 11조 단서 후문에 따라 가등기채무자의 환수권이 소멸하면 가등기채권자는 가등기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을 확정적으로 취득하고 이로써 가등기담보권은 소멸하며 채권자는 담보목적물의 시가 상당액을 한도로 피담보채무를 우선변제 받게 된다. 가등기채권자가 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을 확정적으로 취득한다는 점에서 환수권 소멸로 인한 가등기담보권 소멸의 법적 성격은 위  권리취득에 의한 사적 실행(귀속정산)과 유사하다. 이는 선의의 제3자가 사인 간의 매매가 아닌 경매절차를 통해 담보목적물의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판례도 제11조 단서 전문 관련 사안에서 채권자의 가등기담보권 소멸의 성격을 실질적 사적 실행(귀속정산)’으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8215947 판결).

 

 11조 단서 후문의 환수권 소멸 시 부동산 가액피담보채무의 확정시기 등 구체적인 정산방법

 

 사적 실행 시의 구체적인 정산방법

 

가등기담보권을 사적 실행 하는 경우 청산금 평가의 기준 시점은 통지 시점으로 확정된다(가등기담보법 제4조 제1).

[청산금] = 통지 당시의 담보목적물 시가 - 통지 시점까지의 피담보채무 원리금 합계액

 

이는 채권자채무자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채무자는 통지 후 담보목적물의 시가가 상승하더라도 채권자에게 시가 상승을 이유로 한 청산금의 추가 지급을 청구할 수 없고,  채권자는 통지 후 실제 청산금 지급 시점까지 증가한 지연이자 등을 추가로 공제할 수 없다.

 

채무자가 제11조 본문에 따라 환수권을 행사하는 경우 그 말소청구 시점까지 발생한 피담보채권액 전액(통지 후 환수권 행사 시점까지 증가한 지연이자, 1년분을 초과하는 것까지 모두 포함)을 채권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것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가등기담보법 제4조와 제11조 본문이 가리키는 피담보채권의 의미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법 제4조 제1항의 그 채권액’ = ‘사적 실행에서의 우선변제권 범위

 

법 제11조 본문의 그 채무액’ = 피담보채권 = ‘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즉 가등기담보로써 담보되는 피담보채권(= 담보권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은 제11조 본문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대여금채권 원리금 전액이지만, 가등기채권자가 가등기부동산으로부터 다른 채권자들에 우선하여 변제받을 수 있는 범위는 그 중 일부로 제한된다.

 

사적 실행의 경우 법 제3조 제2(민법 제360), 4조 제1항의 제한이 있다. 지연이자는 민법 제360조에 따라 변제기 경과 후 1년분으로 한정된다. ‘통지로 시적 범위 확정되고, 통지 후 실제 청산금 지급 시까지 증가한(근담보의 경우) 원본, 약정이자, (일반적인 경우) 지연이자 등은 추가로 공제할 수 없다.

 

반면 공적 실행의 경우 법 제12조 제1, 13(민법 제360)의 제한이 있다. 지연이자는 민법 제360조에 따라 변제기 경과 후 1년분으로 한정된다. 다만 실제 거래관계에서 가등기담보는 대부분 근담보형으로 파악될 것이므로 민법 제360조에 따라 지연손해금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한 위 가등기담보법 규정은 사실상 사문화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결국 가등기담보권을 사적 실행하는 경우에만 그 피담보채권 중 통지 시점후 발생한 이자 등을 우선변제 받을 수 없게 되는 제한이 따른다. 판례도 가등기담보권을 사적 실행하는 경우 우선변제권의 범위는 제4조 제1항에 따라 통지 당시를 기준으로 확정된다고 보고 있다(대법원 2016. 6. 23. 선고 201513171 판결).

 

그렇다면 사적 실행에서 통지 후 실제 소유권 취득 시점(= 정당한 청산금 지급 후 본등기를 마친 때)까지 추가로 발생한 지연이자 등이 있는 경우 그 부분은 무담보의 일반채권으로 남아 귀속정산 절차가 완결된 후에도 가등기채권자가 여전히 채무자에게 그 지급을 구할 수 있는지 문제되는데, ‘귀속정산의 의미를 고려할 때 이는 부정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결국  통지로써 사적 실행(귀속정산)’ 절차가 개시되면 채권자에 대하여만 편면적으로’,  이후 채권자의 유효한 소유권 취득으로써 사적 실행(귀속정산)’ 절차가 완료되면 채권자채무자 모두에 대하여’, 가등기담보의 피담보채권이 통지 시점을 기준으로 축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11조 단서 후문 환수권 소멸 시의 구체적인 정산방법

 

 먼저 통지가 없는 경우 청산금 산정의 기준 시점이 환수권 소멸사유 발생 시

이 된다.

통지가 없는 경우의 청산금 = ‘환수권 소멸사유 발생 시점을 기준으로 산정한 담보부동산 시가 - 그때까지 발생한 피담보채권 원리금 합계액

 

(2) 반면 통지가 있는 경우 청산금 산정의 기준 시점에 관하여 보면, 통지가 있는 경우 채무자의 청산금지급청구권은 통지 시점에 이미 발생하고, 이미 발생한 채무자의 청산금지급채권은 가등기담보법 제11조 단서에 따른 환수권 소멸의 경우에도 같은 내용으로 그대로 존속한다고 봄이 타당하다.

 

. 환수권 소멸효과의 소급효 인정 여부

 

법이 특별히 11조 단서의 예외 조항을 마련한 취지 거래안전이란 점에서 소급효설이 타당하다.

 

. 청산금 산정의 기준 시점

 

환수권 소멸  채권자의 담보권실행 통지가 있었던 경우를 전제로 할 경우  1(통지 시점)  2(환수권 소멸사유 발생 시점),  3(부동산 가액은 통지 시점, 공제할 피담보채권액은 환수권 소멸사유 발생 시점),  4(청산금지급채권과 대물변제로 인한 정산의 문제를 별개로 보는 견해)이 대립한다.

1(통지 시점)이 타당하다.

 

환수권 소멸사유 발생  채권자의 통지가 없었던 경우에는 채무자의 청산금지급채권이 10년의 제척기간이 경과한 때 또는 선의의 제3자가 소유권을 취득한 때에 비로소 발생하므로 청산금 산정의 기준 시점도 환수권 소멸사유 발생 시점이 된다.

 

그러나 이 사건과 같이 환수권 소멸사유 발생  채권자의 통지가 있었던 경우에는 통지 도달 시점에 이미 채무자의 청산금지급채권이 발생하고, 환수권 소멸 후에도 여전히 존속 중이며 그 권리의 내용은 통지 시점을 기준으로 산정한 정당한 청산금의 지급을 구할 권리이므로, 따라서 채권자의 통지 후 환수권이 소멸한 경우 청산금 산정 기준 시점은 당연히 통지 시점으로 파악함이 타당하다.

 

5.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고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를 마친 경우의 법률관계  [이하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홍승면 P.1348-1356 참조]

 

. 이런 경우의 본등기 (= 무효)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로서도 효력이 없고, 단지 말소등기청구의 대상이 될 뿐이다(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8300661 판결).

 대법원 2019. 6. 13. 선고 2018300661 판결 :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이하 가등기담보법이라고 한다) 3조는 채권자가 담보계약에 의한 담보권을 실행하여 그 담보목적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그 채권의 변제기 후에 같은 법 제4조의 청산금의 평가액을 채무자 등에게 통지하여야 하고, 이 통지에는 통지 당시 부동산의 평가액과 민법 제360조에 규정된 채권액을 밝혀야 하며, 그 통지를 받은 날부터 2월의 청산기간이 지나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가등기담보법 제4조는 채권자는 위 통지 당시 부동산의 가액에서 피담보채권의 가액을 공제한 청산금을 지급하여야 하고, 부동산에 관하여 이미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청산기간이 지난 후 청산금을 채무자 등에게 지급한 때에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고, 담보가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청산기간이 지나야 그 가등기에 따른 본등기를 청구할 수 있으며, 이에 반하는 특약으로서 채무자 등에게 불리한 것은 효력이 없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 규정들은 강행법규에 해당하여 이를 위반하여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이루어진 경우 본등기는 무효라고 할 것이고, 설령 그와 같은 본등기가 가등기권리자와 채무자 사이에 이루어진 특약에 의하여 이루어졌다고 할지라도 만일 특약이 채무자에게 불리한 것으로서 무효라고 한다면 본등기는 여전히 무효일 뿐, 이른바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로서 담보의 목적 내에서는 유효하다고 할 것이 아니다. 다만 가등기권리자가 가등기담보법 제3, 4조에 정한 절차에 따라 청산금의 평가액을 채무자 등에게 통지한 후 채무자에게 정당한 청산금을 지급하거나 지급할 청산금이 없는 경우에는 채무자가 통지를 받은 날부터 2월의 청산기간이 지나면 위와 같이 무효인 본등기는 실체적 법률관계에 부합하는 유효한 등기로 될 수 있을 뿐이다.

 

 이러한 본등기는 채무자의 합의 내지 현실적인 협력 하에 마쳐진 것이 거의 대부분인바, 판례는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본등기 경료에 채무자가 명시적으로 동의하였더라도 본등기가 전면 무효라고 본다.

 

소유권이전청구권가등기에 기한 본등기는 공동신청주의가 적용되므로, 담보가등기권자가 혼자서 본등기를 마치려면 반드시 채무자의 인감증명서 등을 첨부하여 채무자의 등기신청을 대리하여야 한다.

등기신청 시에 첨부되어야 하는 인감증명서의 유효기간은 짧아서(발행일로부터 3개월), 미리 받아둔 인감증명서로는 본등기를 마치지 못하므로, 본등기를 신청할 때에 다시 채무자로부터 인감증명서를 교부받아야 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 별도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으면 피담보채무는 잔존한 채로 지연손해금이 계속 발생함

 

 관련 규정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3(담보권 실행의 통지와 청산기간)

 채권자가 담보계약에 따른 담보권을 실행하여 그 담보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기 위하여는 그 채권(債權)의 변제기(辨濟期) 후에 제4조의 청산금(淸算金)의 평가액을 채무자등에게 통지하고, 그 통지가 채무자등에게 도달한 날부터 2개월(이하 청산기간이라 한다)이 지나야 한다. 이 경우 청산금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뜻을 통지하여야 한다.

 1항에 따른 통지에는 통지 당시의 담보목적부동산의 평가액과 민법 360조에 규정된 채권액을 밝혀야 한다. (후략)

 4(청산금의 지급과 소유권의 취득)

 채권자는 제3조제1항에 따른 통지 당시의 담보목적부동산의 가액에서 그 채권액을 뺀 금액(이하 청산금이라 한다)을 채무자등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담보목적부동산에 선순위담보권(先順位擔保權) 등의 권리가 있을 때에는 그 채권액을 계산할 때에 선순위담보 등에 의하여 담보된 채권액을 포함한다.

 채권자는 담보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이미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청산기간이 지난 후 청산금을 채무자등에게 지급한 때에 담보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며, 담보가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청산기간이 지나야 그 가등기에 따른 본등기(本登記)를 청구할 수 있다.

 청산금의 지급채무와 부동산의 소유권이전등기 및 인도채무(引渡債務)의 이행에 관하여는 동시이행의 항변권(抗辯權)에 관한 민법 536조를 준용한다.

 11(채무자등의 말소청구권)

채무자등은 청산금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그 채무액(반환할 때까지의 이자와 손해금을 포함한다)을 채권자에게 지급하고 그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본등기가 무효이므로 여전히 담보가등기만이 설정된 상태에 머물고 있는 것임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경우 본등기가 무효이므로 여전히 담보가등기만이 설정된 상태에 머물고 있는 것이다.

, 피담보채무는 본등기에 따른 대물변제로 소멸한 바가 없다.

 

 따라서 피담보채무는 잔존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지연손해금은 계속 발생하게 된다.

 

 가등기담보권자가 별도로 청산절차를 모두 마쳐야만 목적물의 소유권 변동 및 피담보채무 원리금의 소멸이 가능함

 

 담보가등기권자가 목적물의 소유권을 취득하고, 이로써 피담보채무가 대물변제로 소멸하려면, 다음의 3가지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담보권 실행 통지 : 채무자에게 담보권 실행을 통지하면서 그 당시를 기준으로 하는 (주관적으로 평가된) 목적물의 가액 및 채무원리금을 밝혀야 한다.

 청산기간 : 그로부터 2개월의 청산기간이 지나야 한다.

 청산금 : 만약 통지 당시 목적물의 가액이 채무원리금을 초과하면 청산기간이 지난 후 그 차액(= 청산금)의 지급까지 마쳐야 한다.

 

 채무자는 이러한 담보권 실행 통지를 받으면, 다음의 3가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동시이행항변 : 목적물의 평가액을 다투면서 정당하게 평가된 청산금을 지급받을 때까지 목적물의 소유권이전등기나 인도를 거절할 수 있다.

 완제 후 등기말소 : 채무원리금 전액을 변제하고 담보가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도 있다.

 청산금 청구 : 또는 정당하게 평가된 청산금을 청구할 수도 있다.

 

 대법원 2008. 4. 11. 선고 200536618 판결 : 채무자 등은 채권자가 통지한 청산금액을 다투고 정당하게 평가된 청산금을 지급받을 때까지 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이전등기 및 인도채무의 이행을 거절하거나 피담보채무 전액을 채권자에게 지급하고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마쳐진 가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을 뿐 아니라{대법원 1992. 9. 1. 선고 9210043, 10050(반소) 판결 참조}, 채권자에게 정당하게 평가된 청산금을 청구할 수도 있다.

 

 적법한 청산절차가 없는 상태에서 지연손해금이 누적됨에 따라 사후적으로 본등기가 유효하여질 수 있음

 

,  지연손해금의 누적으로 피담보채무 원리금 총액이 목적물의 가액을 초과함에 따라 지급할 청산금이 없어졌고,  그러한 취지가 채무자에게 통지되어  그 통지 도달일로부터 2개월의 청산기간이 지난 경우에는 청산기간 종료 시점에 무효인 본등기가 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가 되어 효력을 얻게 된다.

 

 대법원 2017. 5. 17. 선고 2017202296 판결 : 가등기권리자가 가등기담보법 제3, 4조에 정한 절차에 따라 청산금의 평가액을 채무자 등에게 통지한 후 채무자에게 정당한 청산금을 지급하거나 지급할 청산금이 없는 경우에는 채무자가 그 통지를 받은 날부터 2월의 청산기간이 지나면 위와 같이 무효인 본등기는 실체적 법률관계에 부합하는 유효한 등기로 될 수 있을 뿐이다(대법원 2002. 6. 11. 선고 9941657 판결 등 참조).

 

. , 선의의 제3자가 목적물의 소유권을 취득하면 채무자는 소유권이전등기 말소 청구 불가

 

 관련 규정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제11(채무자등의 말소청구권) 채무자등은 청산금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그 채무액(반환할 때까지의 이자와 손해금을 포함한다)을 채권자에게 지급하고 그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그 채무의 변제기가 지난 때부터 10년이 지나거나 선의의 제삼자가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가등기담보법은 선의의 제3자 보호규정을 두어, 채무자의 말소등기청구권을 제한함

 

 위 규정은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에 직접 적용되는 것은 아님

 

가등기담보법 제11조의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라는 문언상, 위 규정의 직접 적용 대상은 양도담보이다.

다만 학설은,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에 유추적용된다는 점에는 별다른 다툼이 없었다.

 

 이에 관하여 대상판결(대법원 2021. 10. 28. 선고 2016248325 판결)은 두 가지의 새로운 내용을 판시하였음

 

 판시  :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은 담보가등기에 기한 본등기가 마쳐진 후 선의의 제3자가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 채무자는 더 이상 본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없다.

, 대상판결은 명시적으로 가등기담보법 제11조의 적용 범위가 양도담보 외에 가등기담보에 기하여 마쳐진 무효의 본등기에도 미친다는 점을 판시하였다.

여기서 선의의 제3라 함은 채권자가 적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고 담보목적부동산에 관하여 본등기를 마쳤다는 사실을 모르고 그 본등기에 터 잡아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자를 말한다.

3자가 악의라는 사실은 이를 주장하는 자에게 증명책임이 있다.

 

 판시  : 그 반사적 효과로 본등기 및 이에 기초한 다른 후속 등기는 소급하여 효력을 얻는다.

, 대상판결은 명시적으로 가등기담보법 제11조 단서 후단의 효과가 선의의 제3자에 대한 보호를 넘어 무효인 본등기 및 후속등기 자체의 소급적 유효화에 이른다는 점을 판시하였다.

나아가, 이에 따라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권이 본등기를 마친 시점으로 소급하여 소멸하고, 채무자는 본등기를 마친 시점으로 소급하여 청산금채권을 취득한다고도 판시하였다.

 

 이상의 법리는 선의의 제3자가 경매절차에서 경락받은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고도 판시하였다.

 

6. 부동산 양도담보가 가등기담보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경우의 법률관계 [이하 민법교안, 노재호 P.1785-1792 참조]

 

예컨대 피담보채권이 매매대금채권인 경우 가등기담보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 부동산 양도담보권의 법적 성질

 

 가등기담보법의 적용을 받는 경우와의 균형상 일종의 담보물권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와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되지 않는 이상 종래의 판례 법리에 따라 신탁적 소유권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대립한다.

 

 판례는 담보 목적의 범위에서 소유권이 이전된다고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대외적으로는 양도담보권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되지만 대내적으로는 설정자가 여전히 소유자이고 양도담보권자는 담보계약에 따른 권리만을 갖는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소유권이전등기에 의하여 담보물권이 설정된다는 것 자체가 기존의 민법 체계를 뒤흔드는 것이고, 만일 양도담보권을 담보물권이라고 한다면 그에 기초하여 경매 청구 또한 가능하여야 할 것인데 그에 관한 아무런 규정도 없기 때문에,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되지 않는 양도담보에 관하여는 신탁적양도설에 의하는 것이 타당하다.

 

. 성립

 

 양도담보권설정계약 +  소유권이전등기

 

. 대내적 효력

 

 효력이 미치는 범위 : 피담보채권 및 목적물이다.

 

 소유권

 

 신탁적양도설을 취하는 학설은 대내적 관계에서도 양도담보권자가 소유자이되 다만 담보목적의 범위에서 소유권을 행사할 제약을 부담한다고 해석한다.

 

 그러나 판례는 대내외관계를 구별하여 대내적 관계에서는 설정자가 소유자이고 양도담보권자는 담보계약에 따른 권리만을 갖는다고 보고 있다.

 

 사용·수익

 

일반적으로 부동산을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양도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목적 부동산에 대한 사용·수익권은 채무자인 양도담보설정자에게 있다. 따라서 양도담보권자는 사용·수익할 수 있는 정당한 권한이 있는 채무자나 채무자로부터 그 사용·수익할 수 있는 권한을 승계한 자에 대하여는 사용·수익을 하지 못한 것을 이유로 임료 상당의 손해배상이나 부당이득반환 청구를 할 수 없고(대법원 1988. 11. 22. 선고 87다카2555 판결, 대법원 2008. 2. 28. 선고 200737394, 37400 판결), 양도담보설정자와 양도담보권자 사이에 양도담보권자가 목적물을 사용·수익하기로 하는 약정이 없는 이상 목적부동산을 임대할 권한은 양도담보설정자에게 있다(대법원 2001. 12. 11. 선고 200140213 판결).

 

. 대외적 효력 (= 양도담보권자가 소유자)

 

 변제기 도래 전의 처분의 효력

 

양도담보권자가 목적부동산을 자기의 소유 재산으로서 제3자에게 처분한 경우, 이는 제3자의 선·악의를 묻지 아니하고 유효하다. 다만 제3자가 양도담보권자의 배임행위에 적극가담 한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일반채권자와의 관계

 

양도담보권자의 일반채권자가 압류 등을 한 경우 설정자는 대외적 관계에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어 제3자 이의의 소를 제기할 수 없다.

 

 설정자가 직접 물권적 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

 

설정자는 대외적인 관계에서는 소유권을 주장할 수 없기 때문에 부정하는 것이 논

리적이나, 이를 허용한 판례가 있다.

 대법원 1988. 4. 25. 선고 87다카2696,2697 판결 : 부동산의 양도담보권 설정자는 그 부동산의 등기명의가 양도담보권자 앞으로 되어 있다 할지라도 그 부동산의 불법점유자인 제3자에 대하여는 그 실질적 소유자임을 주장하여 불법점유의 상태의 배제권을 행사할 수 있는 것이므로,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대지를 매수한 피고(반소원고)가 그의 남편인 소외 김**의 채무를 담보하기 위하여 채권자인 소외 황** 앞으로 그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사실을 확정하고서도 이 사건 대지의 실질적인 소유자인 피고에게 이 사건 방해배제청구권이 있다고 판시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또한 비록 피고가 위 황**에 대한 위 피담보채무를 약정기간까지 변제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그것만으로 위 대지에 대한 실질적인 소유권이 없어지는 것도 아니다.

 

. 담보 목적의 실행 (대내적으로는 설정자가 소유자이고 양도담보권자는 담보계약에 따른 권리만을 갖는다는 판례에 따라 설명함)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되지 않는 부동산 양도담보권의 실행은 설정자와 양도담보권자 사이의 담보계약의 내용에 따른다. 이에 따르면 양도담보권자는 목적부동산을 처분하거나(처분청산) 그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여(귀속청산) 먼저 자기 채권의 변제에 충당한 다음 나머지가 있으면 이를 설정자에게 반환하여야 한다. 그리고 양도담보권자는 처분청산 또는 귀속청산의 일환으로 설정자 또는 설정자로부터 목적부동산의 점유를 이전받은 제3자를 상대로 목적부동산의 인도를 청구할 수 있다. 목적부동산을 처분하거나 그 가치를 스스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목적부동산을 인도받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때 설정자가 청산금채권으로 동시이행의 항변을 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처분청산의 경우에는 3자에게 소유권이 이전되는 시점에 설정자의 대내적 소유권이 소멸하는데(그래서 그 뒤에는 환수권을 행사할 수 없다), 귀속청산의 경우에는 청산이 완료되는 시점에 설정자의 대내적 소유권이 소멸한다. 이때 청산이 완료되는 시점이 언제인지 문제되는데, 대법원은 약한 의미의 양도담보가 이루어진 경우 부동산이 귀속정산의 방법으로 담보권이 실행되어 그 소유권이 채권자에게 확정적으로 이전되었다고 인정하려면 채권자가 가등기에 기초하여 본등기를 경료하였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담보부동산을 적정한 가격으로 평가한 후 그 대금으로써 피담보채권의 원리금에 충당하고 나머지 금원을 반환하거나 평가 금액이 피담보채권액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채무자에게 그와 같은 내용의 통지를 하는 등 정산절차를 마친 사실이 인정되어야 한다.”라고 판시하고 있다(대법원 2005. 7. 15. 선고 200346963 판결 등).

 

 앞에서 본 설정자의 대내적 소유권이 소멸하는 시점  양도담보권자에게 확정적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시점 전에는 설정자는 언제든지 피담보채권 전액을 변제하고 담보 목적으로 마쳐진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이른바 환수권). 그리고 이 권리는 대내적 소유권에 기한 물권적 청구권이기 때문에 소멸시효에 걸리지 않는다.

 

7. 부동산 양도담보가 가등기담보법의 적용을 받는 경우의 법률관계 [이하 민법교안, 노재호 P.1785-1792 참조]

 

. 부동산 양도담보권의 법적 성질

 

 가등기담보법 제4조 제2항은 채권자는 담보부동산에 관하여 이미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된 경우에는 청산기간 경과 후 청산금을 채무자 등에게 지급한 때에 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한다.’고 정하고 있다. 이러한 규정에 따르면 가등기담보법이 적용되는 경우에는 채권자가 담보목적 부동산에 관하여 소유자로 등기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청산절차 등 법에 정한 요건을 충족해야만 비로소 담보목적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할 수 있다(대법원 2022. 4. 14. 선고 2021263519 판결).

 

 따라서 가등기담보법상 부동산 양도담보권은 특수한 담보물권이라고 보아야 한다. 그런데 가등기담보법은 양도담보권에 관하여 충분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만일 담보물권설에 따르면 그 구체적인 실행 방법이 어떻게 되는지 분명하지 않다. 예컨대 양도담보권자가 임의경매를 신청할 수 있는지, 선순위담보권자가 신청한 경매절차에서 양도담보권자가 배당에 참가할 수 있는지 등 담보권의 핵심적인 내용들이 불분명하다.

 

. 성립

 

 양도담보권설정계약 +  소유권이전등기(양도담보임을 등기원인으로 기재할 수 있으나, 실제로 이용되는 예는 드물다)

 

. 대내적 효력

 

 효력이 미치는 범위 : 피담보채권 / 목적물 / 물상대위

 

 소유권 : 설정자가 소유자이다.

 

 사용·수익

 

다른 특약이 없는 한 설정자가 사용·수익권을 갖는다. 양도담보가 가등기담보법의 적용 대상이 되는 경우에는 양도담보권자가 청산절차 등을 거쳐 담보목적 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기 전까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양도담보 설정자가 부동산의 소유자로서 이를 현실적으로 점유하면서 사용수익하고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채권자가 건물에 대한 양도담보권을 취득했다고 해서 그 대지 소유자에게 부당이득반환의무를 부담하는 것은 아니다(대법원 2022. 4. 14. 선고 2021263519 판결).

 

. 대외적 효력 (= 설정자가 소유자, 양도담보권자는 특수한 담보물권자)

 

 변제기 도래 전의 처분의 효력

 

양도담보권자가 목적물을 자기의 소유 재산으로서 제3자에게 처분한 경우, 이는 원칙적으로 무권리자의 처분행위로서 무효이나(담보물권설), 3자가 선의인 경우에는 유효하다(법 제11조 단서 참조. 이는 양도담보권자가 소유권을 처분한 경우만을 규정하고 있으나, 그 취지상 양도담보권자의 다른 처분행위에도 그대로 적용된다고 할 것이다). 선의의 증명책임을 누가 부담하는지는 논의의 여지가 있으나(참고로 가등기담보법 법률안에는 그 제11조 단서 2문으로 3자는 그 선의임을 증명하여야 한다.”는 규정을 두기까지 하였으나, 이 부분은 국회심의단계에서 삭제되었다), 등기의 추정력에 관한 일반 원칙에 따라 설정자가 제3자의 악의를 증명하여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일반채권자와의 관계

 

 설정자의 일반채권자가 양도담보권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어 있는 부동산에 강제집행을 할 수 있는지가 문제된다. 담보물권설에 의하면 설정자가 여전히 소유자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하여야 할 것이나, 실제로는 집행절차(집행법원이 당사자 사이의 실체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가?) 및 등기절차(양도담보권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되어 있는 상태에서 설정자에 대한 경매개시결정기입등기를 할 수 있는가?) 상의 문제 때문에 불가능하다고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양도담보권자의 일반채권자가 압류 등을 한 경우 설정자는 소유자로서 제3자 이의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 담보물권설에 의하면 설정자가 여전히 소유자이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하여야 할 것이나, 법 제11조 단서의 취지를 고려할 때 압류권자가 선의인 경우에도 그렇게 해석하여야 하는지는 논의의 여지가 있다.

 

 설정자가 국세 등을 체납한 경우

 

납세자가 국세·가산금 또는 체납처분비를 체납한 경우에 그 납세자에게 양도담보재산이 있는 때에는 그 납세자의 다른 재산에 대하여 체납처분을 집행하여도 징수할 금액에 부족한 경우에 한하여 국세징수법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그 양도담보재산으로써 납세자의 국세·가산금과 체납처분비를 징수할 수 있다. 다만, 그 국세의 법정기일 전에 담보의 목적이 된 양도담보재산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국세기본법 제42조 제1, 지방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 양도담보권의 실행

 

가등기담보법은 양도담보권의 실행에 관하여는 명확한 규정을 두지 않고 있다.

 

 사적 실행

 

 법 제4조 제2항 전단은 채권자는 담보목적부동산에 관하여 이미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경우에는 청산기간이 지난 후 청산금을 채무자등에게 지급한 때에 담보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취득하며라고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 외의 방법은 허용되지 않는다.

 

 실행 통지  청산기간의 경과  객관적인 청산금의 지급1073)  소유권 취득.

 

정당하게 평가된 청산금이 지급되어야만 양도담보권자가 소유권을 취득하기 때문에, 소유권 취득 시기가 매우 불분명해 지는 문제점이 있다.

 

 경매청구권

 

명문의 규정이 없다. 통설은 이를 부정하는 듯하다.

 

 배당참가

 

명문의 규정이 없다. 선순위저당권자가 임의경매를 신청한 경우에 문제되는데, 논리적으로는 담보권자로서 배당에 참가할 수 있다고 하여야 할 것이나, 실제로는 제3취득자로 취급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 환수권

 

 채무자 등은 청산금채권을 변제받을 때까지 그 채무액(반환할 때까지의 이자와 손해금을 포함한다)을 채권자에게 지급하고 그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 다만, 그 채무의 변제기가 지난 때부터 10년이 지나거나 선의의 제3자가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법 제11).

 

 위 기간은 제척기간이고, 제척기간은 권리자로 하여금 해당 권리를 신속하게 행사하도록 함으로써 법률관계를 조속히 확정하려는 데 그 제도의 취지가 있는 것으로서 그 기간의 경과 자체만으로 곧 권리 소멸의 효과가 발생한다. 한편, 채무자 등이 가등기담보법 제11조 본문에 따라 채권담보의 목적으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하기 위해서는 그때까지의 이자와 손해금을 포함한 피담보채무액을 전부 지급함으로써 그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대법원 2007. 6. 1. 선고 20053304 판결 등 참조).

 

 따라서 채무자 등이 위 제척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피담보채무를 변제하지 아니한 채 또는 그 변제를 조건으로 담보목적으로 마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하더라도 이를 제척기간 준수에 필요한 권리의 행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므로, 채무자 등의 위 말소청구권은 위 제척기간의 경과로 확정적으로 소멸한다. 이러한 법리는 채무자 등이 피담보채무를 변제하지 아니한 채 또는 그 변제를 조건으로 위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등기를 청구하는 소를 제기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대법원 2014. 8. 20. 선고 201247074 판결 : 피담보채무의 변제를 조건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 말소등기 청구의 소제기 당시에는 10년의 제척기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나, 사실심 변론종결 당시에는 이미 제척기간이 경과한 사안).

 

 가등기담보법 제11조 단서에 정한 제척기간이 경과함으로써 채무자 등의 말소청구권이 소멸하고 이로써 채권자가 담보목적부동산의 소유권을 확정적으로 취득한 때에는 채권자는 가등기담보법 제4조에 따라 산정한 청산금을 채무자 등에게 지급할 의무가 있고, 채무자 등은 채권자에게 그 지급을 청구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대법원 2018. 6. 15. 선고 2018215947 판결).

 

8. 변제자대위 [이하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홍승면 P.728-734 참조]

 

. 법정대위(민법 제481)와 임의대위(민법 제480)

 

발생요건

 

법정대위는 변제할 정당한 이익이 있어야(보증인, 연대채무자, 공동보증인, 공동불법행위 등)하나, 임의대위는 변제할 정당한 이익 없이 변제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법정대위는 변제로 당연히 대위하나, 임의대위는 채권자의 승낙과 대항요건(채권양도의 통 지 등)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임의대위의 경우 채권자, 채무자, 변제자와의 변제합의가 있는 경우가 많다.

 

대위의 범위

 

법정대위와 임의대위 모두 구상채권의 범위 내에서 대위한다는 점에서는 같다(민법 제482조 제1).

다만, 구상채권의 범위가 다르다.

 

법정대위에서의 구상채권에는 법정이자가 가산된다(민법 제425조 제2, 441조 제2항 등).

법정이자가 발생하는 주요 사례로는 해제 시의 원상회복,악의의 부당이득, 구상금 등이 있다.

 

임의대위에서의 구상채권에는 지출한 날 이후로부터의 이자가 가산된다(민법 제688조 제1).

 

임의대위에서 채무자와 변제자는 변제에 관한 합의, 즉 위임계약을 맺음으로써 위임인과 수임인의 관계에 있으므로, 구상채권은 민법 제688조에 따른 수임인의 비용상 환청구권의 성질을 지니기 때문이다.

 

여기서, 이자는 약정에 의해 정해지는 것으로서 이자의 정함은 계약 해석의 문제로 남는다.

 

. 변제자대위와 구상권의 관계

 

변제자대위는 채무자가 변제를 하면 채권자가 가지고 있던 채권과 담보권이 그대로 이전하는 제도일 뿐, 권리가 아니다.

 

변제자대위로 인하여 취득하는 채권 및 담보권의 행사와 구상권의 행사는 별개의 권리에 기한 것이고 위 각 권리는 별도의 소송물이다.

 

변제자대위에 의하여 이전되는 권리에는 인적 담보, 물적 담보 기타 권리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구상의무의 주체와 변제자대위로 이전되는 의무의 주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연대채무자(부진정연대채무자) 1인이 채권자에게 변제한 경우 다른 연대채무자의 보증인에 대하여는 구상권이 없고, 다만 다른 연대채무자에 대한 구상권의 확보를 위하여 변제자대위로 채권자의 보증채권이 변제한 연대채무자에게 이전하고, 물적 담보의 경우에도 변제자대위는 일어나는데 그 경우에도 물상보증인에 대하여 구상권이 없음은 당연하다.

 

대법원 2020. 2. 6. 선고 2019270217 판결은, 채무자의 보증인으로서 채무를 변제한 원고가 피고(상호속용으로 인하여 채무자와 부진정연대채무를 지는 관계에 있음)에 대하여 구상권이 없으므로, 변제자대위로 인한 채권도 있을 수 없다고 판시하였으나 이는 오해가 있을 수 있는 판시이다.

아무런 구상권이 없으면 변제자대위로 취득할 권리도 없다.

 

9. 소멸시효완성의 원용 [이하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홍승면 P.269-270, P.728-734 참조]

 

. 일본의 경우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에 관한 일본 민법 제145조는 시효는 당사자가 이를 원용하지 않으면 재판소는 이에 의하여 재판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일본 판례는 상대적 소멸설(정지조건설)을 취한다. 이 설에 의하면, 효에 의한 채권소멸의 효과는 시효를 원용한 때에 비로소 확정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일본에서는 원용할 수 있는 자의 범위가 문제된다.

 

. 우리나라 판례의 태도

 

소멸시효 완성의 효과에 대하여 우리 판례는 절대적 소멸설로 보이는 듯한 판시를 하고 있다(대법원 1985. 5. 14. 선고 83655 판결).

우리 민법에서는 제정 당시 일본 민법에서의 원용 규정이 삭제되었다.

 

다만 판례는 변론주의의 원칙상 채무자가 소멸시효 완성을 주장하여야 한다고 보고 있다.

, 채무자가 소멸시효 완성을 주장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본 판례와 동일한 결론이다.

 

그러나 우리 판례도 소멸시효를 원용할 수 있는 자를 채무가 소멸되는 결과 직접적인 이익을 받는 사람으로 한정하고 있다(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22676 판결).

 

우리 판례가 절대적 소멸설의 입장이라면, 실체법상 채권이 소멸한 이상, 원용을 해야 효과를 주장할 수 있다거나 원용권자의 범위를 가리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 소멸시효완성을 원용할 수 있는 자

 

보증인(대법원 1991. 1. 29. 선고 89다카1114 판결) : 보증채무가 시효로 소멸하지 않았더라도, 주채무가 시효로 소멸하면 보증채무도 부종성에 의하여 소멸하게 되므로, 보증채무자는 주채무의 시효소멸을 주장할 수 있다.

 

연대채무자(부담부분에 한하여 절대적 효력 인정) : 부담부분에 한하여 절대적 효력이 인정되기 때문이다(민법 421).

 

물상보증인(대법원 2004. 1. 16. 선고 200330890 판결)

 

담보부동산의 제3취득자(대법원 1995. 7. 11. 선고 9512446 판결)

 

사해행위의 수익자(대법원 2007. 11. 29. 선고 200754849 판결)

 

. 소멸시효 완성을 원용할 수 없는 자

 

채무자에 대한 일반 채권자(대법원 1979. 6. 26. 선고 79407 판결,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22676 판결) : 채무자가 부담하는 채무 중 일부가 시효 완성으로 소멸하면, 일반채권자가 집행할 수 있는 채무자의 재산이 늘어나는 결과가 되나, 판례는 간접적인 이해관계에 불과하다고 본다. 다만, 일반채권자가 채무자를 대위하여 시효완성을 주장하는 것은 가능하다

 

채권자대위소송의 제3채무자(대법원 1991. 7. 26. 선고 915631 판결. 예외 : 채무자가 소송절차에서 소멸시효를 원용하는 항변을 한 경우) : 다만, 채권자가 채무자에 대한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제3채무자를 상대로 채무자의 제3채무자에 대한 채권에 기한 이행청구의 소를 제기하는 한편, 채무자를 상대로 피보전채권에 기한 이행청구의 소를 제기한 경우, 채무자가 그 소송절차에서 소멸시효를 원용하는 항변을 하였고, 그러한 사유가 현출된 채권자대위소송에서 심리를 한 결과, 실제로 피보전채권의 소멸시효가 적법하게 완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채권자는 더 이상 채무자를 대위할 권한이 없게 된다(대법원 2008. 1. 31. 선고 200764471 판결).

 

후순위저당권자(最高裁 平成 11. 10. 21.)

 

10. 대상판결의 내용분석 [이하 판례공보스터디 민사판례해설, 홍승면 P.728-734 참조]

 

명의의 이전등기는 가등기담보법에 정한 청산절차를 거치지 아니하여 무효이다.

 

회사 명의의 이전등기는 당시 소유자인 주식회사와의 계약에 따라 마쳐진 것으로서 유효이다(실체관계에 부합하는 등기).

 

원고는 에 대한 대위변제에 따라 변제자대위에 의하여 명의의 가등기담보권을 취득한다(임의대위).

 

원고는 가등기담보법 제16조에 따라 적법한 채권신고를 하였으므로, 원고는 별도의 배당요구 없이도 이 사건 경매절차에서 배당받을 수 있는 지위에 있다.

 

변제자대위로 이전하는 권리는 구상권의 범위 내로 한정되므로, 이 사건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권과 원고의 주식회사에 대한 구상금채권의 가액을 비교하여야 한다.

 

각 채권액을 보면, 원고의 주식회사에 대한 구상금채권은 대위변제금 4억 원 및 원고가 대위변제한 날부터 원고와 회사 사이의 약정이율에 따른 이자 또는 지연손해금이 가산되고,

이 사건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권은 원금 25천만 원 및 대여일 이후의 약정이자 또는 지연손해금이 된다.

 

대상판결은 4억 원 및 대위변제일 다음 날부터 25천만 원에 대한 이자 또는 지연손해금이라고 하고 있으나, 같은 금액을 표현만 달리 한 것이다.

 

파기환송심에서는 양 채권액에 대하여 심리한 후 원고가 배당받을 금액을 확정하여야 한다.

 

피고는 후순위 담보권자로서 이 사건 담보가등기의 피담보채권이 소멸하였다는 주장을 하고 있으나, 후순위 담보권자는 시효이익을 원용할 이익이 있는 자에 해당하지 아니한다(일본 최고재판소 판례와 같은 견해를 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