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톨스토이의 단편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탐욕은 바닷물과 같아서 마시면 마실수록 목이 마르다. 행복이란 이미 갖고 있는 것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다. 행복의 비결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갖고 있느냐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에 달려 있다.》〔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톨스토이의 단편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레프 니콜라에비치 톨스토이(Lev Nicholaevich Tolstoy)의 단편 중에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How Much Land Does a Man Need?)”라는 소설이 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러시아에 바흠이라는 한 농부가 있었다. 바흠은 평범하지만 별 욕심 없이 행복하게 살던 한 소작농이었다.
어느 날 바흠은 우연한 기회에 땅을 조금 얻게 되었다.
그런데 땅을 얻은 이후에는 이상하게도 욕심이 자꾸 생겨 땅을 계속 넓혀가야만 성이 차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바흠은 어떤 지방에서 땅을 싸게 판다는 말을 듣고 그 곳에 가게 되었다. 이 지방은 땅을 파는 방식이 대단히 독특했다.
하루 종일 자기 발로 걸은 만큼의 땅을 주었던 것이다.
그렇지만 해가 지기 전에 그 출발점으로 돌아오지 않으면 무효가 되었다.
바흠은 이 계약에 동의하고 아침 일찍 일어나 자기 땅을 얻기 위해 출발했다. 계속 걷다보니 욕심도 생기고 자기 앞에 있는 땅들일수록 더 비옥하고 탐스럽게 보여서 걸음을 멈출 수가 없었다.
음식도 먹지 않은 채 구덩이를 파고 표시를 했다.
이미 반환점을 돌아야 했을 시점인데도 바흠은 욕심 때문에 계속 앞으로 나가게 되었다.
해지기 전에 돌아가야 하기 때문에 쉬지도 않았다.
마음이 급해 바흠은 장화도 옷도 벗고 달리기 시작했다.
땀이 비오듯 했지만 조금이라도 멀리 가기 위해 쉬지 않고 달렸다.
이렇게 해서 해가 막 떨어질 무렵에 출발점으로 간신히 돌아올 수 있었지만 바흠은 그만 심장이 터져 그 자리에 피를 토하며 죽고 말았다.
바흠의 하인이 그를 땅에 묻었는데 그 땅은 바흠의 키보다 조금 긴 3아르신(약 2미터)에 불과했다.
정작 그에게는 단지 반 평 남짓의 땅만이 필요했던 것이다.
톨스토이가 위 소설의 아이디어를 불경에서 얻었는지는 알 길이 없으나, 불경에도 같은 이야기가 나온다.
주인공이 땅을 더 얻기 위해 기를 쓰고 걸어간 것도 같고, 사력을 다해 되돌아 온 것도 같다.
돌아오자 마자 죽은 것도 마찬가지이다.
단지 불경 속의 주인공은 죽기 직전 손에 들고 있던 지팡이를 앞으로 던지면서 “저기까지가 내 땅이야”라고 외치며 숨을 거두었다.
그러나 그에게 돌아간 땅 역시 반 평의 무덤이란 점은 동일하다.
탐욕은 바닷물과 같아서 마시면 마실수록 목이 마르다.
욕심과 집착을 버려야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좀처럼 생각하지 않고, 늘 부족한 것에 대해서만 생각한다.
행복이란 이미 갖고 있는 것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다.
“행복의 비결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갖고 있느냐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워져 있는가에 달려 있다.”
<재물이란 분뇨와 같아서 한 곳에 모아두면 견딜 수 없는 악취가 나고, 골고루 사방에 흩뿌리면 거름이 된다. >
부족함이 많은 인간이기에 더 바라고 더 갖기를 원하는 욕망은 끝이 없다.
어느 하나를 절실히 원하다 소유하게 되면, 얻은 것에 감사하는 마음은 짧은 여운으로 자리하고 또 다른 하나를 원하고 더 많이 바라는 간사한 마음이 다시 자리 잡는다.
욕심은 그렇듯 채워지지 않는 잔이다.
주먹을 꽉 쥐면 그 안에 아무 것도 없지만, 주먹을 펴면 그 안에 모든 것이 있다.
좋은 것을 담으려면 먼저 그릇을 비워야 한다.
욕심은 버려야 채워진다.
진짜 큰 부자들은 베푸는데 인색하지 않다.
오히려 베푸는 마음가짐 때문에 큰 부를 쌓을 수 있었다.
적선지가 필유여경(積善之家 必有餘慶)이다.
선을 베풀면 반드시 집안에 경사스러운 일이 찾아 오는 법이다.
재물은 ‘좋은 우물’과 같다.
좋은 우물이란 항시 일정 수위를 유지하는 우물이다.
장마철에도 넘치지 않고, 가뭄이 들어도 마르지 않는다.
재물 역시 남에게 베푼다고 줄어드는 것이 아니라, 베풀면 베푼 만큼 다시 채워지는 것이다.
재물이란 분뇨와 같아서 한 곳에 모아두면 견딜 수 없는 악취가 나고, 골고루 사방에 흩뿌리면 거름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xGFE1/btr6K2xnpno/L7EsIuHMR2hhsykuTQ8ko0/img.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