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호사 윤경/수필

[북한에 비판세력이 없는 이유 - “신념의 강화” 현상](윤경변호사)

윤경 대표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2013. 4. 14. 12:59
728x90

[북한에 비판세력이 없는 이유 - “신념의 강화” 현상](윤경변호사)

 

<종말론을 믿은 사람들 - 왜 자살을 선택하였을까>

 

‘종말론’이나 ‘휴거(携擧, rapture. 선택받은 자는 하늘로 들여 올려 진다는 말)’를 주장하거나 이를 믿는 사람들이 있었다.

모든 재산을 처분하고, ‘휴거’나 ‘지구의 종말’만을 기다렸다.

 

그런데 자신들이 주장한 시간에 ‘종말’이나 ‘휴거’가 발생하지 않자 휴거를 기다린 사람들은 어떤 태도를 취했을까.

 

믿었던 자신의 신념이 진실이 아니라는 것을 깨닫고 이를 겸허하게 받아들여 ‘잘못된 믿음’을 포기하였을 것이라는 것이 ‘대다수 일반인들의 추측’이다.

 

하지만 틀렸다.

극소수만이 자신의 신념을 포기하였고,

대부분은 ‘자신의 신념을 여전히 고수’하거나 ‘자살’을 선택하였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우리가 믿고 예상했던 신념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사람들은 심리적인 부조화로 인하여 ‘극심한 고통’ 이나 ‘상당한 수준의 불편’을 겪는다.

 

자신의 신념이나 믿음이 틀렸다는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두뇌에 ‘엄청난 고통’과 ‘스트레스’를 주는 것이다.

 

이러한 고통이나 불편함을 줄이는 방법은 다양하다.

그 중 하나가 ‘자살’이다.

가장 많이 선택하는 방법은 ‘자신의 믿음이 현실화되지 않는 다른 핑계나 이유’를 찾는 것이다. 자신들의 기도로 종말이 연기되었다거나, 신앙심의 부족으로 휴거가 일어나지 않은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종전의 믿음을 ‘유지’ 또는 ‘강화’한다.

...............

 

<부모가 반대한 결혼이 오래가는 이유>

 

부모가 반대한 결혼은 대체적으로 오래가는 경향이 있다.

 

자신의 신념이 ‘외부와의 투쟁에서 쟁취’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적극 공개’한 경우에는 그 신념이 더욱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부모가 반대한 결혼이니만큼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보여주어 부모님의 생각이 틀렸다는 것을 증명하고 싶어 한다.

자신의 믿음을 반대한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인 경우에는 더욱더 그렇다.

 

결혼 후 배우자의 행동이 마음에 들지 않아도 일반인들보다 더 많이 참고 견딘다. 자신의 선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이 두뇌에 극심한 고통을 선사하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부모가 반대한 결혼이 오히려 행복하게 풀리는 경우도 적지 않다.

 

문제는 부모가 반대한 결혼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배우자의 무능력, 바람기, 심한 구타 등 ‘불행한 결혼’임에도 불구하고 마찬가지의 이유로 이런 결혼생활을 일반인보다 더 오래 지속하는 경향이 있다.

 

잘못된 신념이 강화되면, 그 신념을 바꾸는데도 더 오랜 시간이 걸린다.

.....................

 

<북한의 주민의 가치관 - 믿음의 노예>

 

북한 정권이 북한 주민들의 기대와 믿음에 못 미친 어리석은 행동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도 주민들의 인터뷰 내용은 대체적으로 동일하다.

여전히 김정일 부자 세습에 대한 강한 신뢰와 믿음, 충성이다.

향후에도 그 믿음이 틀리면 틀릴수록 더 강화해 나갈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 잘못된 믿음’은 반드시 변한다.

당연히 시간은 걸리겠지만.

.................................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 - 잘못을 수용하고, 즉시 시정한다>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하기까지 2,000번의 실패를 했다.

뉴욕타임즈의 기자(나폴레온 힐)가 그렇게나 실패를 했을 때의 기분을 물었다.

 

이에 대해 에디슨은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나는 실패한 적이 없습니다. 다만 2,000가지의 다른 방법이 효과가 없음을 증명했을 뿐입니다."

 

실패를 통해 배운다는 태도가 에디슨을 세계 최고의 발명가로 만들었다.

..

 

성공한 사람들은 누군가 자신의 잘못을 지적할 때

그 비판을 받아들이는데 인색하지 않다.

오히려 겸허하게 받아들인다.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면서, 상대방의 조언을 구한다.

 

누구나 실수를 하고 잘못을 저지른다.

성공한 사람은 실수나 잘못에서 교훈을 배우고, 재빨리 시정해 나간다.

 

실패에 집착하거나 잘못된 생각을 고수하지 않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