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차려 입을까 - ‘복장에 관한 편견’](윤경변호사)
<신은 ‘마음’을, 사람은 ‘겉모습’을 먼저 본다.>
아래 사진은 모두 같은 사람이다.
그런데도 옷차림에 따라 그 사람의 지위, 인품이나 성격이 완전히 달라 보인다. 지적인 모습, 완고한 모습, 천박한 모습 등으로 변신한다.
영화 ‘귀여운 여인’에서 주인공 줄리아 로버츠는 허름한 옷을 입었다가 호텔지배인에게 천한 여자로 무시되어 쫒겨 난다. 하지만 며칠 후 고급 옷을 입고 가자 직원의 태도는 완전히 달라진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
사람들은 겉치레가 중요하지 않다고 말한다.
하지만 누군가를 만나면 2-3분 내에 첫인상을 형성하고, 그 때 가장 중요하게 취급하는 정보가 ‘외모’와 ‘복장’이다.
사람들은 복장을 통해 그 사람의 교육수준, 직업, 가정환경, 신분, 심지어 ‘성격’까지도 판단한다.
...............
<복장이 ‘정직성’ 판단에도 영향을 주는가>
복장이 그 사람의 정직성을 판단하는데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심리학자 빅맨은 공중전화 동전 반환구에 미리 동전을 놓아두었다. 실험자는 약간 떨어져서 전화부스(booth) 주변을 관찰하고 있다가 사람들이 통화를 끝내고 그 동전을 자기 주머니에 집어넣으면 그 사람에게 다가가 “제 동전이 거기 있을 텐데 혹시 보지 못했습니까”라고 질문을 한다.
‘넥타이를 맨 정장 차림’과 ‘허름한 작업복 차림의 남자’가 질문을 할 때, 그리고 ‘산뜻한 정장 코트 차림’과 ‘허름한 블라우스 차림’의 여자가 질문을 할 때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200명의 관찰자를 조사한 결과 ‘정장차림의 실험자’에게 동전을 돌려주는 경우가 ‘허름한 차림’보다 2배나 많았다.
지갑을 가져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모르는 사람에게 버스비를 빌려달라고 부탁을 할 때도 ‘잘 차려 입은 사람’에게 빌려주는 경우가 월등히 높았다.
.................
<잘 차려입은 복장은 ‘신뢰감’을 주는가>
누군가를 설득하려면 옷차림에도 신경을 쓰라는 말이 있다.
사람들은 잘 차려 입은 사람에게 설득을 더 잘 당한다.
횡단보도에서 신호등을 무시하고 누군가 먼저 건너면, 무의식 중에 다른 사람들도 따라 건넌다.
실험결과 허름한 옷차림의 사람이 무단횡단을 하면 4%만이 그를 따랐지만, 정장 차림의 신사가 신호를 무시하고 건너면 무려 4배의 사람이 그를 따라 무단 횡단을 하였다.
‘울긋불긋한 옷이나 청바지 차림’보다는 ‘짙은 색 정장 차림’의 강연자의 강연에 청중들이 더 집중하고, 그 내용을 더 신뢰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또다른 연구에 의하면, 위기상황에서 사람들은 ‘차려입은 사람’의 지시에는 잘 따랐지만, ‘허름한 차림을 한 사람’의 지시에는 전혀 따르지 않았다.
..........................
<‘터키 천문학자의 증명 방법’ - 이번에는 그를 믿었다.>
어린 왕자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온다.
나는 어린왕자가 살던 별이 소행성 B612호라고 믿을 만한 상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 그 행성은 딱 한번 1909년 터키 천문학자에 의해 망원경에 잡힌 적이 있었다. 당시 그는 국제 천문학회에서 자신의 발견을 훌륭히 증명해 보였다. 그러나 그가 입은 옷 때문에 아무도 그의 말을 믿지 않았다. 어른들이란 모두 이런 식이다.
터키의 한 독재자가 국민들에게 서양식 옷을 입지 않으면 사형에 처한다고 강요한 것은 소행성 B612호의 명성을 위해서는 다행스러운 일이었다.
그 천문학자는 1920년에 매우 멋있는 옷을 입고 다시 증명을 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모두들 그의 말을 믿었다.
-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 중에서 -
......................
복장만을 신경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람을 외양만으로 판단한다면, 그 것은 성숙한 태도가 아니다.
내면의 중요성에 대하여는 말할 필요가 없다.
깨끗하고 깔끔한 복장을 하면, 입은 사람의 태도나 행동이 달라진다.
외모는 내면의 또 다른 표현이므로,
‘때와 장소에 어울리는 옷차림은 필요하다’는 뜻일 것이다.
‘편견 없는 세상’은 언제 올까.
...........................
하느님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들은 눈에 쉽게 띄게 해놓으셨다.
누가 키가 크고 작은지, 피부색이 검고 하얀지, 얼굴이 예쁘고 못 생겼는지, 몸매가 뚱뚱하고 날씬한지…
이런 것들은 한번 쓱 보면 그냥 알 수 있게 해 두셨다.
그러나 누구의 마음이 따뜻하고 차가운지는 금방 알 수 없게 해 놓으셨다.
오래 만나며 마음을 주고 받지 않으면 알 수 없게 만드셨다.
편견이 있는 사람은 찾을 수 없도록 가장 소중한 것을 가장 깊이 감추어 놓으셨다.
'변호사 윤경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위대한 갯츠비(The Great Gatsby)’](윤경변호사) (0) | 2013.05.17 |
---|---|
[무엇이 청빈인가](윤경 변호사) (0) | 2013.05.15 |
[“사람에게는 얼마만큼의 땅이 필요한가?” - 톨스토이](윤경변호사) (0) | 2013.05.13 |
['히든싱어(Hidden Singer)' - 모창에 열광하는 이유](윤경변호사) (0) | 2013.05.05 |
[부자를 미워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일까](윤경변호사) (0) | 201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