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창고 293

<판례평석> 계약의 합의해지시 반환할 전세금에 대한 지연손해금 부가 여부【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0다5336,5343 판결】(윤경변호사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산경매변호사)

계약의 합의해지시 반환할 전세금에 대한 지연손해금 부가 여부【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0다5336,5343 판결】(윤경변호사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산경매변호사) 【대법원 2003. 1. 24. 선고 2000다5336,5343 판결】 ◎[요지] [1]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면서, '임대차계약은 임차인이 임차보증금을 완급한 때부터 효력이 생기고, 그 때부터 한 달 이내에 임차인이 임차부분에 입점하지 아니하면 자동적으로 해지된다.'고 약정하였는데, 그 후 임차인이 위 기한 내에 입점하지 않았다면 해지의 의사표시를 요하지 않고 그 불이행 자체로써 위 임대차계약은 그 일자에 자동적으로 해지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2] 임대차계약의 당사자 사이에 자동해지 조항의 효력을 상실시키고 자동해지된 계..

<판례평석> 타인 소유의 부동산을 무단점유한 경우 자주점유의 추정이 깨어지는지 여부【대법원 1997. 8. 21. 선고 95다28625 전원합의체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타인 소유의 부동산을 무단점유한 경우 자주점유의 추정이 깨어지는지 여부【대법원 1997. 8. 21. 선고 95다28625 전원합의체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대법원 1997. 8. 21. 선고 95다28625 전원합의체 판결】 ◎[요지] [1]민법 제197조 제1항에 의하면 물건의 점유자는 소유의 의사로 점유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점유자가 취득시효를 주장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스로 소유의 의사를 입증할 책임은 없고, 오히려 그 점유자의 점유가 소유의 의사가 없는 점유임을 주장하여 점유자의 취득시효의 성립을 부정하는 자에게 그 입증책임이 있다. [2] 점유자의 점유가 소유의 의사 있는 자주점유인지 아니면 소유의 의사 없는 타주점유인지의 여부는 점유자의 내심의 의사에 의하여 ..

[사람의 본성은 이기적일까, 이타적일까](법무법인바른 윤경변호사)

[사람의 본성은 이기적일까, 이타적일까](법무법인바른 윤경변호사) 생물학적으로 인간의 본성이 이기적이거나 이타적이라면, 이런 본성은 부모로부터 자식으로 유전이 되어야 한다. 적자생존의 원리상 대립유전자와 경쟁하여 자기의 생존기회를 증가시켜 살아남은 유전자가 사람의 본성을 결정할 것이다. 그럼 이타적 유전자와 이기적 유전자 중 어떤 것이 살아 남았을까. 당연히 “이기적 유전자”이다. 유전자는 유전자 자체를 유지하려는 목적 때문에 원래 이기적이다. 진화심리학자 로버트 라이트(Robert Wright)가 “우리는 행복한 동물이 아니라 능률적인 동물이 되도록 만들어졌다”고 주장한 것처럼 이기적 유전자는 하나의 생존전략으로 진화해 왔다. 모든 생물은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의 생물학적 적응도를 높이려 애쓸 것이..

<판례평석>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시행 후에 이른바 계약명의신탁약정을 한 경우 명의수탁자가 명의신탁자에게 반환하여야 할 부당이득의 대상【대법원 2005. 1. 28. 선고 2002다669..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시행 후에 이른바 계약명의신탁약정을 한 경우 명의수탁자가 명의신탁자에게 반환하여야 할 부당이득의 대상【대법원 2005. 1. 28. 선고 2002다66922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대법원 2005. 1. 28. 선고 2002다66922 판결】 ◎[요지]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제4조 제1항, 제2항에 의하면,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가 이른바 계약명의신탁약정을 맺고 명의수탁자가 당사자가 되어 명의신탁약정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소유자와의 사이에 부동산에 관한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그 매매계약에 따라 당해 부동산의 소유권이전등기를 수탁자 명의로 마친 경우에는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 사이의 명의신탁약정의 무효에도 불구하고 그 명의수..

<판례평석>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전의 계약명의신탁에 있어서 수탁자의 신탁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의 범위【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0다21123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전의 계약명의신탁에 있어서 수탁자의 신탁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의 범위【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0다21123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0다21123 판결】 ◎[요지]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시행 전에 이른바 계약명의신탁에 따라 명의신탁 약정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는 소유자로부터 명의수탁자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가 경료되고 같은 법 소정의 유예기간이 경과하여 명의수탁자가 당해 부동산의 완전한 소유권을 취득한 경우, 명의수탁자가 명의신탁자에게 반환하여야 할 부당이득의 대상(=당해 부동산 자체) 제목 :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전의 계약명의신탁에 있어서 수탁자의 신탁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의 ..

<판례평석> 무효인 명의신탁약정에 기한 급부는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여 그 반환이나 원상회복을 구할 수 없는지 여부【대법원 2003. 11. 27. 선고 2003다41722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무효인 명의신탁약정에 기한 급부는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여 그 반환이나 원상회복을 구할 수 없는지 여부【대법원 2003. 11. 27. 선고 2003다41722 판결】〔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대법원 2003. 11. 27. 선고 2003다41722 판결】 ◎[요지] [1] 부당이득의 반환청구가 금지되는 사유로 민법 제746조가 규정하는 불법원인이라 함은 그 원인되는 행위가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하는 경우를 말하는 것으로서, 법률의 금지에 위반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그것이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 [2]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이 규정하는 명의신탁약정은 부동산에 관한 물권의 실권리자가 타인과의 사이에서 대내적으로는 ..

<판례평석> 임의경매절차에서 착오로 축소신고된 채권계산서를 제출한 신청채권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 여부【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1다3054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민사소..

임의경매절차에서 착오로 축소신고된 채권계산서를 제출한 신청채권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 여부【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1다3054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산경매변호사) 【대법원 2002. 10. 11. 선고 2001다3054 판결】 ◎[요지] [1] 실체적 하자 있는 배당표에 기한 배당으로 인하여 배당받을 권리를 침해당한 자는 원칙적으로 배당기일에 출석하여 이의를 하고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하여 구제받을 수 있고, 가사 배당기일에 출석하여 이의를 하지 않음으로써 배당표가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확정된 배당표에 의하여 배당을 실시하는 것은 실체법상의 권리를 확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당이득금반환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지만, 배당표가 정당하게 작성되어 배당..

<판례평석-저작권법> 응용미술작품이 저작물로 보호되기 위한 요건【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3도7572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저작권법변호사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

응용미술작품이 저작물로 보호되기 위한 요건【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3도7572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저작권법변호사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산경매변호사) 【대법원 2004. 7. 22. 선고 2003도7572 판결】 ◎[요지] 일명 '히딩크 넥타이'의 도안이 우리 민족 전래의 태극문양 및 팔괘문양을 상하 좌우 연속 반복한 넥타이 도안으로서 응용미술작품의 일종이라면 위 도안은 '물품에 동일한 형상으로 복제될 수 있는 미술저작물'에 해당한다고 할 것이며, 또한 그 이용된 물품과 구분되어 독자성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저작권법 제2조 제11의2호에서 정하는 응용미술저작물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제목 : 응용미술작품이 저작물로 보호되기 위한 요건 1. 사안의 개요 및 쟁점 ..

<판례평석-저작권법> 캐릭터 자체의 독자적 저작물성 여부【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5도70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저작권법변호사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산경매..

캐릭터 자체의 독자적 저작물성 여부【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5도70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저작권법변호사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산경매변호사) 【대법원 2005. 4. 29. 선고 2005도70 판결】 ◎[요지] [1] 저작물인 만화영화의 캐릭터가 특정분야 또는 일반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것이라거나 고객흡인력을 가졌는지 여부는 저작물의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고려할 사항이 아니라고 한 사례. [2] 특정 회사가 저작권을 갖고 있는 저작물인 만화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가 부착된 팽이를 수입한 행위가 저작권 침해행위에 해당한다고 한 사례. [3] 만화, 텔레비전, 영화, 신문, 잡지 등 대중이 접하는 매체를 통하여 등장하는 가공적인 또는 실재하는 인물, 동..

<판례평석> 계약해제로 인한 금전의 반환에 대하여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3조 제1항에 의한 이율 적용의 가능 여부【대법원 2003. 7. 22. 선고 2001다76298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계약해제로 인한 금전의 반환에 대하여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 제3조 제1항에 의한 이율 적용의 가능 여부【대법원 2003. 7. 22. 선고 2001다76298 판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 민사소송전문변호사 / 부동산경매변호사) 【대법원 2003. 7. 22. 선고 2001다76298 판결】 ◎[요지] [1] 상소는 자기에게 불이익한 재판에 대하여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그 취소·변경을 구하는 것이므로 전부 승소한 원심판결에 대한 불복 상고는 상고를 제기할 이익이 없어 허용될 수 없다. [2] 민법 제548조 제2항은 계약해제로 인한 원상회복의무의 이행으로 반환하는 금전에는 그 받은 날로부터 이자를 가산하여야 한다고 하고 있는바, 위 이자의 반환은 원상회복의무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일종의 부당이득반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