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을 섬기면 삶에 진정한 의미가 생긴다.]【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친다.>
선비는 자기를 알아주는 사람을 위하여 목숨을 바치고, 여자는 자기를 기쁘게 해주는 사람을 위하여 얼굴을 꾸민다(士爲知己者死, 女爲悅己者容 사위지기자사 여위열기자용).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예양(豫讓)이란 사람이 한 말이다.
예양은 춘추시대 진나라의 유력씨족인 지백을 모시고 살았는데, 지백이 씨족끼리의 싸움에서 패배해 죽고 말았다.
그는 지백의 원수인 무술을 죽여 원한을 갚고자 했지만 실패하고 무술에게 잡히고 만다. 무술은 옛 주인을 위한 충성심이 가상하다고 하여 그를 풀어주었다.
하지만 예양은 복수의 칼을 거두지 않았다. 벼르고 벼르던 어는 날 예양은 다시 한 번 복수를 꿈꾸며 무술이 지나가는 길목의 다리 밑에 몸을 숨겼다.
그런데 무술의 수레가 다리에 다다르기 전에 수레를 끌던 말이 무엇에 놀랐는지 딱 멈춰 섰다. 결국 예양은 수레에서 내려 주변을 살피던 무술에게 발견되고 만다.
무술이 예양을 꾸짖어 말했다. “너는 전에 범씨와 중행씨를 섬기다가 지백이 중행씨를 멸망시키자 주인의 원수를 갚기는커녕 지백의 신하가 됐던 자가 아니냐? 그런데 이번에 지백이 죽었다고하여 어찌 지백을 위해 원수를 갚겠다는 마음이 이다지도 질긴 것이냐?”
예양이 답했다. “전에 중행씨는 나를 보통 사람이나 다름 없이 대우했습니다. 그러나 지백은 나를 국사(國士)로 대접해 주었습니다. 여느 사람과 같이 나를 대우하면 나도 여느 사람과 같이 보답하고, 국사로 대우하면 나도 국사로 보답하려는 것입니다.”
예양은 무술에게 간청하여 무술의 옷을 얻어 그 옷에다가 비수를 찔렀다.
그리고 “이제는 저승에 가서도 지백을 만날 수 있다”라고 외치면서 비수로 자신의 가슴을 찔러 목숨을 끊었다.
자신을 알아 준 사람을 위해 목숨을 바친다는 것은 일응 극단적인 사례로 비춰질 수 있지만, 다른 사람을 인정해 준다는 것이 얼마나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일화다.
<아기들은 인정해 달라고 울고, 어른들은 인정받기 위해 죽는다.>
사람들의 관심사는 언제나 자기 자신이다.
당연히 자신에게 관심을 가져주고 말을 걸어오고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을 좋아할 수밖에 없다.
아기들은 인정해 달라고 울고 어른들은 인정받기 위해 죽는다.
직장인이 밤잠을 설쳐가며 일에 매달리고, 문학가가 뼈를 깍는 고통을 감내하며 작품을 쓰는 것도 밑바닥에 인정받고 싶은 욕구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직원만 인정받고 싶은 것은 아니다. 최고경영자나 대통령 조차도 인정받기를 원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그런데 ‘인정받고 싶은 욕구’보다 더 강한 욕구가 있다.
<‘최고의 쾌락과 행복감’은 ‘사랑’, ‘선행’, ‘봉사’ 등을 통해 자신의 존재의미를 구현할 때 느낄 수 있다.>
심리학자 아브라함 마슬로우(Abraham H. Maslow) 박사의 “욕구단계설”에 의하면, 사람은 식욕이나 성욕 등 ‘말초적이고 원시적인 생리욕구’를 충족시키고 나면 좀 더 ‘고차원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려 든다.
그것은 “남으로부터 인정을 받으려는 욕구”와 “자기 실현의 욕구”이다.
큰 부자가 되어 기본적인 욕구가 충족되면, 다른 사람들로부터 좋은 평판을 얻고 인정을 받고 싶은 마음에 정치에 관심을 두거나, 어려운 사람을 돕기 위해 기부를 하거나 또는 예술을 후원하는 일 등을 시작한다.
바로 “인정을 받고 싶은 욕구” 때문이다.
이 욕구의 충족은 뇌에 상당히 큰 쾌락을 부여한다.
그런데 “인정받고 싶은 욕구”보다 더 높은 욕구가 있다.
바로 “자기 실현의 욕구”다.
자기 실현의 욕구를 달성한 사람이 느끼는 정신상태는 “행복의 절정”이다.
최고의 쾌락과 즐거움을 가져다 주는 “자기 실현의 욕구”는 권력이나 명예를 얻었을 때가 아니라, ‘사랑, 선행, 봉사’ 등을 통해 자신의 존재의미를 구현할 때인 것이다.
다른 사람에게 봉사하고 나누어 주면서 느끼는 사랑과 기쁨이 ‘인정받는 욕구’보다 더 황홀하다고 한다.
삶을 뒤흔드는 황홀한 열병에 빠져라.
그리고 그 열병을 다른 사람들에게 마구 전염시켜라.
.....................
법무법인 바른(www.barunlaw.com)
파트너 변호사 윤경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92길 7 바른빌딩 (우:135-846)
대표전화 : 02-3476-5599
직통전화 : 02-3479-2336(담당비서실)
'변호사 윤경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 생명에게 독극물을 흡입시킨 회사가 멀쩡하게 활개 치는 나라]【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6.01 |
---|---|
[이미 갖고 있는 것을 소중히 여기는 것이 행복이다.]【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6.01 |
[애착은 사람에게나 느껴야 할 감정이다.]【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5.31 |
[영화 “끝까지 간다(A Hard Day, 2013)]【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5.31 |
[대팻날을 갈고, 그물 깁는 시간이 필요하다.]【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