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꿈 때문에 방황하는 마흔살】《인생에서의 성공은 꿈꾸는 자의 몫이다.》〔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마흔 살 이후에 갖게 되는 좋은 점>
마흔 살이 넘은 시점에 갑자기 인생을 전환하기란 쉽지 않다.
남들은 이미 길을 정해서 전력을 다해 질주하고 있는데, 이제 와 새로운 꿈을 꾼다는 게 무모한 도전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
일찍이 꿈을 접고 살아온 선배들은 방황하는 마흔 살에게 말한다.
“제발 꿈 깨라! 꿈 깨! 네 나이가 몇인데 아직도 꿈 타령이냐? 꿈이 밥 먹여줘? 지금 하는 일이나 잘해. 그것도 제대로 못하면서 무슨 … ”
그들의 말이 완전히 틀린 것은 아니다.
마흔 살이 넘어 새로운 것을 해 보겠다고 도전해 봤자 받아 주는 곳이 별로 없는 것이 현실이니까.
그러나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마흔 살이 넘어서도 새로운 꿈을 향한 도전은 가능하다.
남의 인생이라고 쉽게 이야기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마흔 살이 넘어 시작하는 새로운 일은 오히려 성공할 확률이 높다.
마흔이란 나이가 갖는 여러 가지 장점이 그걸 가능하게 만든다.
마흔 살은 이상과 현실이 만나는 시기이다.
그래서 이상에만 치우치지 않고 좀 더 현실적인 꿈을 꾸게 된다.
40여 년을 살아오면서 자신과 현실의 한계를 알게 되고, 따라서 꿈을 현실에 맞게 조율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자신의 뜻대로 되지만은 않는 것이 인생이다.
30대와 40대를 거치면서 ‘all or nothing’의 흑백 논리를 벗어나 인생에서 최선이 아니면 차선이 있음을, 실패가 곧 끝이 아님을 알게 되면서 실패를 받아 들일 수 있게 된다.
마흔이 되면서 좋은 점 중 또 한 가지는 뇌의 기능이 점점 발달해 통합력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통합력이 높아지면 세상을 좀 더 포괄적이고 종합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마흔 살이 넘어 치밀한 계획을 세워 시작한 일이 성공할 확률이 높은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다.
또 마흔 살이 넘으면 인생이 길지 않다는 것을 서서히 피부로 느끼기 시작한다.
이러한 시간에 대한 인식은 더 절실하게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몰두할 수 있게 한다.
마흔이 돼서 좋은 점은 진심으로 자기가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 수 있으며, 어떻게 이 짧은 인생을 사는 것이 정말 가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성찰이 생긴다는 것이다.
남들과 치열한 경쟁 끝에 승리해도 그것이 자신에게 의미가 없으면 허무하다는 사실을 깨우치게 된다.
자신의 능력과 한계를 깨닫고, 진정 자신이 원하는 것을 찾을 수 있으며, 자신의 꿈과 현실을 조율할 수 있는 능력은 마흔 살 이후에서야 비로소 가질 수 있다.
<인생에서의 성공은 꿈꾸는 자의 몫이다.>
무엇이든 언제 시작했느냐는 중요하지 않다.
얼마나 열정을 갖고 어떤 준비 과정을 거쳐 어떤 마음으로 시작했느냐가 중요하다.
꿈을 이루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고, 그러고 나서는 뒤돌아 보지 마라.
마흔 살이 넘어 진정 자신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았다면, 꿈꾸기를 두려워 해서는 안된다.
당신이 진정 좋아하는 일로 성공하고 싶다면, 그 희망을 행동으로 옮긴다면, 그리고 실패를 두려워 하지 않는다면 그 꿈은 분명 이루어 진다.
비록 가는 길이 험난하고 때론 넘어져 다칠 순 있지만, 인생에서의 성공은 꿈꾸는 자의 몫이다.
꿈이란 땅 위의 길과 같다.
본래 땅 위에 길이 없었다.
당신이 먼저 걸어가면, 그것이 곧 길이 되는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dv9Nl6/btr6yawNswE/CmqViVNMVIB75G64D9GqE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RdyIj/btr6DKjjyZJ/mlqFh3muBsKcXbxo2vWaD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ALPd4/btr6BTnt4MY/1FsIfclj07ANK80iOjFN7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GePwW/btr6CfRndNO/4NytuoOZDCxsNi8HyZfJK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IT0YF/btr6AiauUkX/APASTgEkkacKRhNUmeHfR1/img.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