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을 무조건 억누르려 하지 마라. - “진솔한 감정을 느끼는 것” 자체가 인생을 살 맛나고 풍요롭게 해주기 때문이다.]【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어릴 적에는 감정표현에 솔직했던 사람들도 나이가 들수록 이성적으로 행동하려고 하고, 감정을 느끼고 표현하는데 점점 인색해 진다.
먹고 살기 바쁘다는 이유로 정작 자기 자신을 돌보는데 무심해지기 때문이다.
감정을 표현할 때 사람들이 말 끝마다 “∼ 같다.”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이는 자신감이 없는 나약함의 표시라서 거부감이 들지만, 가장 싫어하는 이유는 이런 말투가 진실성 없는 ‘가짜 감정’의 표출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내 느낌에 너는 변한 것 같아.”, “내가 느끼기에 넌 날 사랑하지 않는 것 같아.”
자신의 입장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 기초한’ 이런 표현들은 솔직한 감정이 아니다.
이는 자신의 느낌이나 감정이 아니라 “너는 나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아.”라는 ‘판단’이나 ‘생각’을 에둘러 우회적으로 말한 것뿐이다.
그런 생각이 머리 속을 차지하면 내 마음 속 깊숙한 곳에서 무언가가 꿈틀거리면서 심장이 서늘해지고 형언할 수 없는 슬픔이 밀려온다.
서글프고, 비참해지고, 무기력하며, 우울해진다.
바로 이것이 진솔한 ‘감정’이고 ‘느낌’이다.
“너 때문에 너무 슬프고 힘들어. 세상이 온통 회색 빛이야.” 이것이 진정한 느낌이다.
내 안의 진솔한 감정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한 다음 이를 억누르지 말고 이야기 하는 것은 많은 강점이 있다.
사람들은 어릴 적부터 화나거나 슬픈 감정 등 부정적 감정은 절대 가져서도 안되고 더더욱 표출해서는 안되도록 교육받는다,
하지만 느낌과 감정을 억제할수록 진솔한 감정과 멀어지면서 자기 자신으로부터 소외된다.
화나고 슬픈 부정적 감정은 그저 마음 속에 있는 것이어서 누구도 해치지 않는다. 그것이 바로 나쁜 행동으로 연결된다는 증거도 없다.
나쁜 감정을 무턱대고 몰아내려고만 하면 무의식에 둥지를 튼 감정이 계속해서 독소를 남기며 마음을 병들게 만든다.
중요한 것은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여 감지하고, 그 느낌을 인격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신이 질투를 할 수도 있고, 화가 날 수도 있는 사람임을 인정한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 “지금 느끼는 감정에 어떤 자세를 보이는 것이 적절할까?”라는 질문에 대한 성숙한 태도를 갖게 된다.
아무리 고통스럽고 슬픈 느낌일지라도 “진솔한 감정을 느끼는 것” 자체가 인생을 살 맛나고 풍요롭게 해주기 때문이다.
슬픈 일이 없는데도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보면서 눈물이 흘러내린다.
감동적인 이야기를 접하면 마음이 저리고 아프도록 찡해 온다. 그 여운이 오래 간다.
자신의 감정에 책임져야 할 사람은 다른 누구도 아닌 내 자신이다.
느낌 그대로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그 감정에 충실해 보자.
세상이 달라져 보인다.
모든 것이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고, 심장은 흥분과 설레임으로 쿵쾅거린다.
.....................
법무법인 바른(www.barunlaw.com)
파트너 변호사 윤경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92길 7 바른빌딩 (우:135-846)
대표전화 : 02-3476-5599
직통전화 : 02-3479-2336(담당비서실)
'변호사 윤경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은 “운명처럼 만나는 이상형(Prince Charming)”과 하는 것일까]【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1.18 |
---|---|
[사회 지도층 인사들은 대중에게 알리고 싶지 않은 자신의 비밀에 대하여 어떻게 대처할까]【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1.13 |
[면도 - 위험한 흉기 제거하기]【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1.11 |
[“Peeping Tom”(훔쳐보는 탐)은 존재했던 인물일까]【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1.11 |
[착한 왕은 나라를 잃고, 악한 왕은 나라는 얻는다. - 이솝우화의 게임이론(Game Theory)을 무시하면.]【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4.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