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족하면 행복할까 - 행복하려면 얼마를 벌어야 하나](1)(법무법인바른 윤경변호사)
<돈의 유래>
Money는 주노(Juno) 여신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기원전 390년 갈리아인들이 로마의 신전을 급습하자 주노(Juno) 여신의 신전 주위에 있는 거위떼가 소리를 내어 로마인들에게 기습을 알려 주었다. 이때부터 주노 여신은 ‘monere(경고하다)’라는 라틴어에 사람을 나타내는 접미사가 합성된 ‘모네타(moneta)’라는 성을 얻었다.
이 ‘모네타(moneta)’에서 ‘money’가 유래하였다.
동전을 유심히 살펴보면 동전의 가장자리가 평평하지 않고 톱니바퀴처럼 튀어나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전에 톱니바퀴가 들어가게 된 것은 금화나 은화가 사용되던 시절부터이다. 금이나 은 자체가 귀금속이라 주화의 가장자리를 몰래 깍아내 이득을 챙기려는 사람들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금만 긁어내도 금방 발견할 수 있도록 주화 옆 가장자리에 톱니바퀴 같은 문양을 새겨놓기 시작했으며, 톱니바퀴가 없는 돈은 사람들이 받기를 꺼리는 바람에 자연스럽게 도태되게 되었다.
“돈이 없는 사람은 항상 돈만 생각하고, 돈이 있는 사람은 오로지 돈만 생각한다.”는 억만장자 폴 게티(J. Paul Getty)의 말처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돈에 대한 사랑은 컸던 모양이다.
연속극에서도 “머니 머니해도 머니가 최고야”라는 대사가 자주 나온다.
.....................................
<행복하고 싶으면, 나이를 먹어라>
돈이 많으면 행복할까.
일리노이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인 에드 디너(Ed Diene)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경제적인 소득은 행복감을 일정수준까지만 올려준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⑴ 가난은 사람을 불행하게 만든다. 하지만 돈이 늘어난다고 행복도 증가하는 것이 아니다.
⑵ 나이든 사람이 젊은이들보다 행복하다. 나이 들면서 행복을 더 느끼는 경향이 있다. 젊은 사람들은 ‘성취하고 싶은 목표’와 ‘소유하지 못한 물질’로 인한 상대적 박탈감 때문에 만족감이 크지 않다. 반면 나이든 사람은 대부분 원하는 것을 이루었거나, 성취하지 못한 일을 현실로 받아들여 상대적 만족감이 크다. (행복하고 싶은데 돈을 벌 자신이 없으면, 빨리 늙으란 말인데...)
⑶ 만성질환자나 장애인이 항상 더 불행한 것은 아니다. 자신에게 주어진 삶의 의미를 더 소중하게 여기기 때문이다.
디너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소득이 올라가면 행복감도 따라 올라가지만 일정수준까지만 그렇다는 것이다.
<잘못된 게임의 법칙>
게임에서 승리하려면, 게임의 법칙을 잘 숙지하여야 한다.
그런데 사람들이 잘못 오해하고 있는 무언의 법칙이 있다.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돈을 벌어라. 가장 비싼 장난감을 손에 쥐고 있는 사람이 게임의 승자다.”
이런 법칙은 절대 존재하지 않는다.
법무법인 바른(www.barunlaw.com)
파트너 변호사 윤경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92길 7 바른빌딩 (우:135-846)
대표전화 : 02-3476-5599
직통전화 : 02-3479-2336(담당비서실)
'변호사 윤경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대를 사랑하는 이가 하나도 없게 된다면, 그때는 …](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3.08.04 |
---|---|
[척도와 기준 - 그 '잣대'의 본질은 절대적일까](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3.08.04 |
[풍족하면 행복할까 - 행복하려면 얼마를 벌어야 하나](2)(법무법인바른 윤경변호사) (0) | 2013.08.04 |
[피그말리온 효과(Pygmalion effect)의 또 다른 전제 조건은 무얼까](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3.08.04 |
[나챠스(Nachas) - 최상의 효도는 “자식 자랑 하는 것”](윤경변호사 법무법인바른) (0) | 201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