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솔한 감정은 인생을 살맛나고 풍요롭게 해준다.]【윤경변호사】
<감정을 무조건 억누르려 하지 마라.>
어릴 적에는 감정표현에 솔직했던 사람들도 나이가 들수록 이성적으로 행동하려고 하고, 감정을 느끼고 표현하는데 점점 인색해 진다.
먹고 살기 바쁘다는 이유로 정작 자기 자신을 돌보는데 무심해지기 때문이다.
감정을 표현할 때 사람들이 말 끝마다 “∼같다.”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내 느낌에 너는 변한 것 같아.”, “내가 느끼기에 넌 날 사랑하지 않는 것 같아.”
이러한 표현방식은 자신감이 없는 나약함의 표시라서 거부감이 든다.
무엇보다도 이런 표현을 싫어하는 가장 큰 이유는 이런 말투가 진실성 없는 ‘가짜 감정’의 표출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표현은 자신의 입장이 아닌 ‘상대방의 입장’에서 말하는 것이므로,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표출하는 것이 아니다.
“너는 나를 더 이상 사랑하지 않아.”라는 자신의 ‘판단’이나 ‘생각’을 에둘러 우회적으로 말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사랑하는 사람이 변했다는 생각이 머리 속을 차지하면, 당신의 마음 속 깊숙한 곳에서 무언가가 꿈틀거리면서 심장이 서늘해지고 형언할 수 없는 슬픔이 밀려온다.
갑자기 서글퍼지고, 비참해지고, 무기력하며, 우울해진다.
바로 이것이 바로 당신의 진솔한 ‘감정’이고 ‘느낌’이다.
“너 때문에 너무 슬프고 힘들어. 세상이 온통 우울한 회색 빛이야.”
이 말이 바로 진정한 느낌이다.
<느낌 그대로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그 감정에 충실해 보자.>
마음 속의 진솔한 감정이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한 다음 이를 억누르지 말고 이야기 하는 것은 많은 강점이 있다.
사람들은 어릴 적부터 화나거나 슬픈 감정 등 부정적 감정은 절대 가져서도 안되고 더더욱 표출해서는 안되도록 교육받는다.
하지만 느낌과 감정을 억제할수록 진솔한 감정과 멀어지면서 자기 자신으로부터 소외된다.
중요한 것은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여 감지하고, 그 느낌을 인격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것이다.
자신이 질투를 할 수도 있고, 화가 날 수도 있는 사람임을 인정한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가 “지금 느끼는 감정에 어떤 자세를 보이는 것이 적절할까?”라는 질문에 대한 성숙한 태도를 갖게 된다.
아무리 고통스럽고 슬픈 느낌일지라도 “진솔한 감정을 느끼는 것” 자체가 인생을 살 맛나고 풍요롭게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니 감정을 무조건 억누를 필요는 없다.
감정은 중요하다.
‘냉철하고 이기적인 머리’보다는 ‘뜨겁게 요동치는 가슴’이 되어 보자.
울고 싶을 때면 실컷 울자. 눈물샘이 마를 때까지.
그래야 마음껏 울고 난 뒤의 시원한 마음과 가벼운 발걸음으로 다시 무언가를 할 힘을 얻을 수 있을 테니 말이다.
자신의 감정에 책임져야 할 사람은 다른 누구도 아닌 당신 자신이다.
느낌 그대로 솔직하게 받아들이고 그 감정에 충실해 보자.
세상이 달라져 보인다.
모든 것이 새로운 느낌으로 다가오고, 심장은 흥분과 설레임으로 쿵쾅거린다.
'변호사 윤경 > 수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깨어 있는 삶을 향한 첫걸음은 자신에 맞게 속도를 늦추는 것이다.]【윤경변호사】 (0) | 2014.12.11 |
---|---|
[‘정신적 고통’과 ‘신체적 통증’]【윤경변호사】 (0) | 2014.12.09 |
[고문변호사로 있는 ‘한국여자프로골프협회(KLPGA)’ 시상식 참석]【윤경변호사】 (0) | 2014.12.08 |
[어떤 일이든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날은 바로 ‘오늘’이다.]【윤경변호사】 (0) | 2014.12.07 |
[정보나 아이디어를 숨기지 말고, 공개해 보라.]【윤경변호사】 (0) | 201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