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정보/부동산경매

【배당요구에 대한 집행법원의 조치】《배당요구의 통지(통지하지 않은 흠)》〔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윤경 대표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2025. 2. 2. 12:06
728x90

【배당요구에 대한 집행법원의 조치】《배당요구의 통지(통지하지 않은 흠)》〔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배당요구에 대한 집행법원의 조치 : 배당요구의 통지(통지하지 않은 흠)》 [이하 제2판 민사집행실무총서(I) 부동산경매(1) 박영호/김선영 P.990-1077 참조, 이하 민사집행실무총서(I) 부동산경매(1) 윤경/손흥수, P.866-969 참조, 이하 법원실무제요(2020) 민사집행(III) 부동산집행2 P.3-24 참조]

 

I. 배당요구에 대한 집행법원의 조치

 

1. 접수

 

 배당요구서가 제출되면 문건입력 프로그램에 전산입력하여 이를 접수하고 경매사건기록에 시간적 접수순서에 따라 가철하며, 위 신청서에는 인지를 붙이지 않는다(민사소송 등 인지법 10조 단서, 재민 91-1).

 

 배당요구가 있으면 집행법원은 신청서에 적힌 내용과 첨부서류에 의하여 배당요구의 형식적 요건에 관하여 심사를 한다. 심사결과 배당요구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여 부적법한 경우, 예를 들어 집행력 있는 정본을 가진 채권자라는 사실에 대한 소명이 없거나, 집행력 있는 정본 없이 배당요구할 수 있는 우선변제청구권이 없는 채권으로 배당요구를 한 경우에는 보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일단 보정을 명하고(집행력 있는 정본에 기하여 배당요구를 하는 것은 채권자의 책임 사항으로서 집행문이 누락되었는지 여부에 관하여서까지 법원의 석명의무 또는 지적의무가 있다고 볼 수 없다. 대법원 1997. 12. 26. 선고 9733584, 33591 판결), 보정하지 않으면 각하를 한다.

그러나 배당요구종기 후의 배당요구는 가령 배당요구의 종기가 연기되거나 새로 정하는 경우에는 배당에 참가할 여지가 있으므로 바로 각하할 것이 아니나 늦어도 배당기일 전에는 각하결정을 하여 이를 배당요구채권자에게 고지함이 타당하다. 다만 실무에서는 부적법한 배당요구가 있더라도 별도로 각하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된 채권자를 배당표에서 이를 제외하고 배당을 실시하는 처리방식을 취하고 있는 예가 많다.

 

 한편, 배당요구한 채권의 실체적 존부는 집행법원에 실질적 심사권이 없으므로 심사대상이 되지 않는다는 견해도 있으나, 배당표 작성을 위해서는 배당요구채권의 내용, 성질, 범위, 순위 등을 조사하지 않을 수 없고, 또한 집행력 있는 정본 없이 배당요구할 수 있는 채권의 경우에는 배당요구의 형식적 요건과 실체적 존부 자체가

쉽게 구분되지도 않으므로 배당표를 작성할 때까지 집행기록에 나타난 자료를 토대로 실체적 존부 및 범위를 심사할 수 있고, 다만 집행기록에 나타난 자료를 조사하는 것 이상의 심사나 조사를 할 필요가 없을 뿐이다. 따라서 배당요구의 형식적 요건을 갖추었더라도 그 채권이 진정한 것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배당에서 제외할 수도 있다. 다만 일단 배당표를 작성하여 비치한 후에는 배당표에 대한 이의의 처리절차에 의하여야 할 것이다.

 

2. 배당요구의 통지

 

. 통지

 

 적법한 배당요구의 신청이 있는 때에는 법원은 배당요구일로부터 3일 이내에 직권으로 이해관계인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여야 한다(민사집행법 제89, 88조 제1).

 

강제경매절차 또는 담보권 실행을 위한 매각절차를 개시하는 결정을 한 부동산에 대하여 다른 강제경매의 신청이 있는 때에도 그 사유를 이해관계인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그러나 조세, 공과금 등의 교부청구나 참가압류가 있은 경우에도 통지를 요하는가에 관하여는 다툼이 있으나 실무는 부정설에 따르고 있다(민사집행법 제90조 참조).

 

이해관계인이라 하더라도 배당절차와 이해관계가 없는 자, 예를 들어 매각에 의하여 소멸하지 않고 존속하는 용익권자 등에게는 통지를 하지 않아도 된다.

 

 위 통지는 통상 법원사무관 등의 명의로 통지서를 작성하여 송달하는 방법으로 행하며(민사집행규칙 8 5항 참조) 위 통지서에는 배당요구신청서 부본을 첨부한다.

 

 통지할 사항은 채권자 누구로부터 어떤 내용의 채권을 원인으로 얼마의 배당요구가 있었다거나 또는 이중경매신청이 있었다는 점이다.

 

 배당요구의 사실을 경매법원이 이해관계인에게 통지하도록 규정한 민사집행법 제89조의 취지는 배당받을 자의 범위가 변경됨을 소유자, 채무자 및 집행절차에 참가하고 있는 당해 배당요구채권자 이외의 다른 채권자에게 알려주어 채권의 존부와 액수를 다투는 등의 대책을 강구할 기회를 부여하여 이들 이해관계인들을 보호하려는 데 있는 것이지 매수인이나 당해 배당요구채권자의 법률상 이익을 보호하려는 데에 있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고, 이러한 통지가 결여된다고 하여도 배당요구의 효력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 따라서 경매법원의 담당공무원이 배당요구 사실을 채무자 등 이해관계인들에게 통지하지 않았고 그로 인하여 관련자들의 법률상 지위에 어떤 영향을 미쳤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그들에 대한 관계에서 불법행위를 구성할 만한 직무상 주의의무위반이 된다고 할 수 없다(대법원 2001. 9. 25. 선고 994528 판결, 대법원 2001. 9. 25. 선고 20011942 판결).

 

. 통지하지 않은 흠

 

 그런데 실무상 이러한 통지를 하지 않고 있다[종전에는 매수인에게 대항할 수 있는 임차인이 임대차존속기간 중에 배당요구를 하는 경우에는 임대인인 채무자(소유자)에 대하여 임대차해지의 의사표시를 전달하기 위하여 예외적으로 이를 시행하였으나(대법원 1996. 7. 12. 선고 9437646 판결, 송무예규 제540), 1999. 3. 주택임대차보호법 개정된 후에는 배당요구만 하면 그 자체로 임대차는 종료되고 우선변제를 받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통지를 하고 있지 않으며 위 송무예규도 1999. 4. 20.폐지되었다].

그 이유는 실제로 매각절차에서 채권자가 배당요구 등을 할 때마다 모든 이해관계인에게 일일이 통지한다는 것이 엄청난 업무의 가중을 초래하며, 이러한 통지를 받지 않았다고 하여도 이해관계인에게 예측하지 못한 피해를 주는 일이 거의 없을 뿐 아니라 불측의 손해가 있다고 하여도 다른 구제방법이 있기 때문이다.

 

 이 통지는 배당요구의 효력발생요건은 아니므로 통지가 없더라도 배당요구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

 

따라서 경매담당공무원이 배당요구 사실을 채무자나 소유자 혹은 다른 배당요구 채권자 등에게 통지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당해 배당요구채권자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는 불법행위를 구성할 만한 직무상 주의의무위반이 있다고 볼 수 없다(대법원 2001. 9. 25. 선고 994528 판결, 대법원 2001. 9. 25. 선고 20011942 판결).

 

 

 

 

 

 

'법률정보 > 부동산경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요구에 대한 불복신청】〔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0) 2025.02.03
【배당이의의 소, 채권자와 채무자가 배당관계를 다툴 때 소의 형식】《원고 불출석에 의한 소 취하 간주의 특칙, 소의 변경이 있는 경우 처리방법, 배당이의의 소와 사해행위취소소송의 병합, 확정된 배당표에 의한 배당과 부당이득의 성립 여부》〔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0) 2025.02.03
【배당요구의 철회】〔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0) 2025.02.01
【남을 가망이 없는 경우의 경매취소】《사법보좌관의 남을 가망이 없음을 이유로 한 취소결정에 대한 불복방법과 처리 요령(불복방법은 사법보좌관의 취소결정에 대한 이의신청, 이의신청을 받은 사법보좌관의 처리절차, 판사의 이의신청사건 처리절차)》〔윤경 변호사 더리드(The Lead) 법률사무소〕  (0) 2025.01.31
【매각물건명세서의 기재사항 중 '점유관계와 관계인 진술(2호)'】《임대차 상황(외국인, 외국국적동포, 재외국민의 경우, 전대차의 경우, 임차인이 법인인 경우, 공동임차인의 경우, 주택임차권등기가 있는 경우, 임차인이 공유자 중 일부와 임대차계약을 한 경우, 임차보증금반환채권의 양수인이 있는 경우, 강제경매신청채권자가 임차인인 경우,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겸유하고 있는 임차인이 선행 경매절차에서 배당요구를 한 경우, 상가건물임대차의 경우, 임차인이 배당요  (1) 2025.01.30